김대중 대통령은 7일(한국시간)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과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통해서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미중 양국의 이해의 폭을 한층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한미 정상회담 =김 대통령은 이날 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최근의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정착, 그리고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미 무산에 따른 북미 관계개선 방안 등을 집중 협의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날 한국의 대북정책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김 대통령이 남북한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그 지역의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용감하고 훌륭한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지금까지도 김대통령의 대북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해 왔고 앞으로도 지지할 것"이라면서 "이는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볼때도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방미 무산이 북미관계의 개선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는 것을 거듭 확인하고 김 대통령이 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 한중 정상회담 =김 대통령과 장쩌민(江澤民) 중국국가주석은 7일 정상회담에서 남북정상회담과 이후 진행되고 있는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것을 첫 의제로 삼았다.

김 대통령은 "장 주석과 중국 정부가 남북정상회담을 적극 도와준데 대해 감사한다"고 고마움을 표시했고, 장 주석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에 관심을 갖고 김 대통령이 말씀한 여러 진전에 대해 관심을 갖고 보고 있다"며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관심이 높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회담에서는 기대를 모았던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양국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10월 서울 아시아 유럽정상회의(ASEM)와 내년 4월 상하이(上海) 아시아 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의 협력 및 양국 지도자들의 상호 방문 확대 등에 합의했다.

뉴욕=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