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만 좋다고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백만장자들에게는 그들만의 공통 분모가 있다.
그들만의 성공 이유도 따로 있다.
세계적인 투자가 워렌 버펫,영국 버진그룹 회장 리처드 브랜슨,월마트 창시자 샘 월튼 등은 어떻게 부자가 됐을까.
최근 번역된 ''그들은 그래서 부자가 되었다''(원제:How to be a Billionaire,마틴 프리드슨 지음,김선희 옮김,롱셀러,1만2천원)는 세계적인 부호 14명의 성공전략을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메릴린치 앤 컴퍼니의 전무이사.
그는 석유업계 제왕 록펠러와 컴퓨터황제 빌 게이츠를 통해 ''시장을 선점하고 지배할 줄 아는 힘''을 해부한다.
로스 페로와 샘 월튼으로부터는 ''혁신보다 모방이 훨씬 유용하다''는 이치를 일깨운다.
리처드 브랜슨을 통해서는 ''경쟁심을 자극하라''고 강조한다.
워렌 버펫과 로렌스 티시의 경우 ''저가 매입''의 비법,합병의 명수 웨인 휘젠거에게서는 ''사업 통합'',커크 커코리안과 칼 이칸으로부터는 ''거래 성사''의 묘수를 끄집어내고 이를 쉽게 설명해준다.
성공확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어떤 것일까.
저자는 ''포브스''지에 실린 부호 4백명 중 1∼5위가 컴퓨터 업종이며,금융 미디어 원격통신 반도체 소매업 종사자가 그 뒤를 이었다고 소개한다.
미래가 밝은 유망 산업을 골라 그곳에 자신의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라는 얘기다.
고두현 기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