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후 반등에 대한 기대도 물거품처럼 흩어졌다.
거래소와 코스닥 시장 모두 깊은 침체의 수렁으로 빠져 들면서 지난주 펀드들도 대부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주식형 펀드가 대량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 등 대형 블루칩들이 고개를 숙임에 따라 낙폭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투신사의 성장형 펀드는 이미 연초에 비해 30%이상 하락했다.
주가하락으로 간접상품의 수익률이 내려가고 이는 다시 손절매 물량을 불러내 주가의 추가하락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셈이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깨려면 투신권에 신규 자금이 유입돼야 하는데 지금으로선 기대하기 힘든 일이다.
원금이 20~30%씩 줄어든 펀드가 수두룩하고 앞으로도 크게 좋아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유가상승 원화약세 대우문제 등 증시를 짓누르는 악재가 즐비하다는 점도 펀드판매에는 큰 걸림돌이다.
한국경제신문이 한국펀드평가와 공동으로 지난 16일 현재 1천2백여개 펀드의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를 살펴본다.
<> 펀드유형별 수익률 =성장형 수익증권과 뮤추얼펀드의 타격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각각 지난 한주동안 수익률이 4.96%와 4.00% 내려갔다.
반면 벤치마크대비 초과수익률은 플러스를 기록했다.
주가지수보다는 낙폭이 적었다는 뜻이다.
하지만 펀드내 주식 편입비율이 현재 높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내세울 만한 수치는 아니다.
주식편입비중이 낮은 안정성장형과 안정형은 그나마 각각 마이너스 2.92%와 0.97%선에서 한주를 마감했다.
사실상 채권형 펀드인 하이일드 펀드는 증시 움직임과 무관하게 지난주에도 꾸준한 성적을 올렸다.
지난주 0.05%만큼 수익률이 높아졌으며 연초에 비해서도 8.39% 상승했다.
<> 운용회사별 수익률 =주식편입비중이 가장 높은 성장형 상품을 운용하는 회사중에는 현대 제일 LG투신 등의 성적이 저조했다.
모두 수익률이 5%이상 떨어졌다.
반면 국은투신은 한주동안 손실률이 마이너스 0.70%에 그쳐 눈길을 끌었다.
뮤추얼펀드 운용사 가운데는 서울투신과 글로벌에셋자산운용의 펀드가 부진했다.
7%이상 수익률이 하락, 투자자들의 애를 태웠다.
상대적으로 유리에셋자산운용과 월드에셋자산운용은 마이너스 1%대로 선전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