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효율 AI(인공지능) '딥시크'의 시장 충격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서학개미들이 미국 반도체 관련주를 담고 있다. '딥시크 덕에 인공지능(AI) 칩 수요가 늘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다.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한 주(1월30일∼2월6일)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외국 주식은 엔비디아와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상장지수펀드)'로 순매수액이 각각 2억9700만달러와 2억6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디렉시온 반도체 ETF는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증폭해 추종하는 고위험 상품이다.순매수액 3위는 전기차 기업 테슬라(2억1900만달러), 4위는 엔비디아를 2배로 추종하는 펀드인 '그레나이트셰어즈 2.0X 롱 NVDA 데일리 ETF'(1억7200만달러)였다.엔비디아, 디렉시온 ETF, 그레나이트셰어즈 ETF 등 미국 반도체 관련 3개 종목의 순매수액은 총 7억3000만달러로 한화로는 1조500억원에 달한다.딥시크는 불과 560만달러(81억원)의 개발비로 '챗GPT o1' 등에 필적하는 최상위 추론 AI의 성능을 구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지난 달 말 전 세계 AI 업계와 증시에 큰 충격파를 줬다.이 비용은 미국 AI 기업들의 개발비와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못 미쳐 'AI 개발에는 거액이 필요하다'는 통념을 완전히 뒤집었다. AI 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성능 메모리 등 AI 하드웨어가 '과잉 투자' 상태가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하면서 반도체 종목이 직격탄을 맞았다.그러나 혼란이 수습되면서 정반대의 전망이 빠르게 부상했다. 딥시크가 경제형 AI 보급을 대거 촉진하고 미국 등 타 AI 업계와의 연구개발(R&D) 경쟁을 촉발해 AI 하드웨어 수요가
<2월 6일 목요일> 오늘은 고용의 날이었습니다. 1월 고용보고서는 훌륭했습니다. 옥에 티는 임금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아진 것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으로 투자자들이 찝찝한 가운데 미시간대 조사에서 관세 걱정 탓에 인플레 기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나 뉴욕 금융시장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조만간 내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강해졌죠. 게다가 며칠 조용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 폭탄을 투척, 2차 충격이 나타났습니다. 다음주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것이죠. 전날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도 4% 폭락하면서 분위기를 냉각시켰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민감도가 커진 가운데 다음주 1월 소비자물가(CPI) 등 물가 데이터가 몰려나옵니다. 오전 8시 30분에 발표된 1월 고용보고서는 미국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하다는 걸 나타냈습니다. ▶신규 고용 14만3000개(예상 17만 개, 12월 30만7000개)▶실업률: 4.0% (예상 4.1%; 이전 4.1%)▶평균 시간당 임금 (전월 대비): 0.5% (예상 0.3%; 이전 0.3%) 신규 고용은 14만3000개 증가해서 월가가 예상한 17만 개보다는 약간 적었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고요. 게다가 지난 두 달(11월, 12월) 고용이 합쳐서 10만 개가 상향 조정되었죠. 그러니까 기존 추정보다 24만3000개 일자리가 더 생겼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따라 지난 3개월간 평균 월별 일자리는 12월 16만4000개에서 1월 23만7000개로 크게 늘었습니다. 노동통계국(BLS)은 LA 산불과 1월 악천후가 미친 구별할 수 있는 영향은 없었다고 언급했습니다.실업률도 4.1%에서 4.0%로 낮아졌습니다. 실업률 조사의 기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 안팎으로 하락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서다.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4.23포인트(0.99%) 떨어진 44,303.4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같은 기간 57.58포인트(0.95%) 내린 6025.99에, 나스닥지수는 268.59포인트(1.36%) 급락한 19,523.4을 기록했다.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이례적으로 급등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확정치 71.1에서 4.6% 감소했고 시장 예상치 71.1을 밑돈다.시장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 부분은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3%로 전월의 3.3% 대비 1%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며 2개월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한 결과다.미시간대의 조엔 후 디렉터는 "지난 14년간 1개월 사이에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사례는 5번뿐"이라며 "현재 수치는 팬데믹 이전 수준 2.3~3.%를 크게 상회했다"고 분석했다.트럼프가 발표한 상호 관세 조치는 지수를 더 눌렀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음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상호 무역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상호 무역이라고 말했지만 맥락상 상호 관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것이다.이 같은 소식에 거대기술 기업 위주로 투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