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위원회는 당장 이달말까지 한빛 외환 등 6개 부실은행의 경영정상화계획을 제출받는다.

금감위는 내주중 은행 경영평가위원회를 구성, 10월 한달동안 정상화계획을 평가한 뒤 독자정상화 가능여부를 판가름한다.

홀로서기가 어려운 은행들은 공적자금이 조성되는 대로 이르면 11월께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부실채권을 털어내 ''클린뱅크(건전은행)''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어 국회에서 금융지주회사법이 통과되면 공적자금이 들어간 은행들과 국유화된 대한생명 대우증권 한국.대한투신 등에 대한 금융지주회사 편입여부가 결정된다.

다만 공적자금 투입시기는 국회가 언제 동의해 주느냐에 달려 있다.

종금사 처리방향은 10월 초에 결정된다.

이미 예금보험공사 자회사가 된 영남종금과 영업정지중인 한스.중앙.한국종금도 실사결과에 따라 정부주도의 금융지주회사로 편입될 지, 은행에 합병될지가 주목된다.

금감위는 부실 상호신용금고와 신용협동조합에 대한 구조조정도 내년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에 앞서 연내 매듭지을 계획이다.

국민 주택 등 우량은행간 합병은 부실은행의 운명이 결정나는 11월 이전에 가시화될 전망이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이 클린화돼 금융지주회사로 편입되면 기존 우량은행들보다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우량은행들은 그 이전에 행보가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이밖에 서울보증보험에 당초 계획보다 3조4천억원 늘어난 8조7천억원을 투입, 대우자동차 매각지연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기업 등에 따른 대지급 수요를 메워줄 방침이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