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 서비스 연기론 급부상 .. 비동기식 지지 업체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세대 영상이동통신(IMT-2000) 기술표준 결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서비스 연기론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SK텔레콤을 비롯 비동기식을 지지하는 진영에서는 기술표준으로 비동기식을 택하는 대신 당초 2002년 5월께로 잡고 있는 서비스 개시 시기를 2∼3년 연기해 국산장비가 개발된 뒤 채택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다.
비동기진영의 한 임원은 이와 관련, "기술표준으로 비동기식을 채택할 경우 장비를 수입하는 도리밖에 없어 문제라면 서비스 시기를 연기하면 된다"면서 "IMT-2000 기술표준협의회에서 서비스 연기론을 공식적으로 제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기식을 지지하는 진영에서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한 임원은 "선진국들이 한참 앞서간 뒤에 신발을 벗고 뒤쫓아간들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서비스 시기를 2∼3년이나 미루고 비동기식 기술을 개발할 경우에는 해외시장은 사실상 포기하는 도리밖에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광현 기자 khkim@hankyung.com
SK텔레콤을 비롯 비동기식을 지지하는 진영에서는 기술표준으로 비동기식을 택하는 대신 당초 2002년 5월께로 잡고 있는 서비스 개시 시기를 2∼3년 연기해 국산장비가 개발된 뒤 채택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다.
비동기진영의 한 임원은 이와 관련, "기술표준으로 비동기식을 채택할 경우 장비를 수입하는 도리밖에 없어 문제라면 서비스 시기를 연기하면 된다"면서 "IMT-2000 기술표준협의회에서 서비스 연기론을 공식적으로 제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기식을 지지하는 진영에서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한 임원은 "선진국들이 한참 앞서간 뒤에 신발을 벗고 뒤쫓아간들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서비스 시기를 2∼3년이나 미루고 비동기식 기술을 개발할 경우에는 해외시장은 사실상 포기하는 도리밖에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광현 기자 k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