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일생을 살다보면 누구나 반드시 넘겨야 할 매듭이 있다.

그 가운데서도 출생 성년 결혼 사망은 사람이 새로운 상태로 넘어가는 중요한 변화의 관문이므로 고대부터 이를 확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성대한 의례가 베풀어졌다.

프랑스 인류학자 방주네프는 1909년 이처럼 개인의 상태,사회적 지위, 연령 등의 변화에 따라 치러지는 의식을 특별히 ''통과의례''로 부르기 시작했다.

통과의례는 본질적으로 죽음과 재생의 관념을 상징화한 것이다.

고대사회에서부터 가장 중시됐던 성년식은 통과의례의 본질을 그대로 보여준다.

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지금도 청소년을 격리시킨 뒤 육체적 고행이나 시험을 통해 성인여부를 결정한다.

많은 부족들이 얼굴이나 등에 상처를 내 특별한 표식을 하는데 그 과정이 고행,즉 죽음이나 다름없다.

하마르족의 경우 성인식을 치르지 못한 소년은 ''우클리(당나귀)''라고 부른다.

그들은 벌거벗은 몸으로 소의 등에 네번 올라타지 못하면 재생을 상징하는 이름을 얻지 못한다.

몸의 상처나 이름이 사회구성원임을 인정하는 상징적 자격증인 셈이다.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서는 공공건물을 지어 2~3년동안 합숙하면서 정신적인 인내와 함께 육체적 단련을 받는다.

우리나라 삼한에도 있었다는 제도다.

일본에는 ''와카모노야'' 라는 고대 청년합숙소가 있었다.

이처럼 고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성인식도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종교의례나 결혼의식에 흡수돼 버렸다.

우리 성인식은 조선조의 관례 계례로 이어져 오고 있다.

통과의례란 모든 사회에 있게마련이지만 사회구조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강조하는 의례가 다르고 절차도 다르다.

그 민족이나 국가의 표준화된 가치가 뭉뚱그려진 상징적 표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례라는 것이 본래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사회통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어젯밤 전야제를 시작으로 내달 3일까지 열리는 세계통과의례 페스티벌의 막이 올랐다.

중국 인도네시아의 전통 성인식 혼례식 장례식 세시풍속 등을 우리의 통과의례와 비교해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