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에 근무하던중 워싱턴대학으로 유학해 생물공학박사학위를 받고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의 자리에 오른 그는 "10년이상 장기투자해야 하는 바이오사업은 대주주나 최고경영자의 뒤받침과 조직풍토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양 부사장은 요즘 차세대 카이랄계 항생제인 "팩티브"에 대한 미국FDA(식품의약청)의 신약승인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국내에서는 가장 많은 3백여명의 생명과학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1979년에 생명과학 연구를 시작한 LG화학이 자존심을 세우고 "대박"을 터트릴수 있는 기회다.
-팩티브의 효능이 그렇게 뛰어난가.
"이번 항생제는 세계적으로 아홉번째 새로운 몰리큘러(분자)다.
현 제품들보다 한단계 효과가 높은 항생제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도 죽일수 있다.
부비동염 폐렴 요도감염 등에 특히 효능이 뛰어나다.
기술을 산 영국의 스미스클라인비첨사는 제품을 조기에 출시하기 위해 임상실험과 신약승인등을 모두 최단시일내에 끝내려고 하고 있다.
이 회사가 글락소웰컴사와 함병함에 따라 향후 20년간 수익이 당초예상했던 1조5천억원보다 늘어날 수도 있다"
-팩티브 이후의 새로운 유망품목은.
"현재 4-5가지 프로젝트중 2-3가지는 가시화될 것이다.
미국의 TBC사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고혈압치료제와 천식치료제는 현재 임상2단계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항암제는 전임상시험을 마쳤고 항감염제는 영국 스미스클라인비첨사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해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단계다"
-미국 현지 연구법인에서의 기능유전체학 연구계획은.
"국내연구원들을 현지법인 BMI로 보내 기능유전체학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연구할 분야를 선택하는게 중요한데 동양인에게 많이 발병하는 위암 감안 췌장암등을 주타깃으로 삼을 것이다"
-바이오벤처 투자계획은 순조로운가.
"아이디어와 비즈니스모델이 명확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포장이 앞선다는 느낌이다.
괜찮은 곳은 너무 대규모투자를 요구해 고민하고 있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