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제조공장 인증] 3차 걸쳐 평가 .. 'KMA 어떻게 선정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 우수제조공장 인증(KMA)은 국내 제조기업의 시장환경및 생산전략의 추세를 파악,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개발한 생산경영 6개 영역과 경쟁성과 7개 영역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장경영지수를 산출, 현장심사와 종합심사를 통해 우수 공장을 발굴했다.
1차 조사는 생산경영 역량평가및 실태조사를 설문방식으로 실시했다.
공장조직운영과 협력업체의 개발및 운영, 정보시스템 활용 등을 주관적 설문으로 조사했다.
원가와 품질, 납기, 유연성 등의 생산성과를 99년 실적수준과 개선율을 대비, 평가했다.
2차 평가는 현장실사를 통한 생산경영 역량 평가에 주안점을 두었다.
우선 87개 항목으로 구성된 자체진단 평가서를 해당업체로부터 받은 뒤 개발과 생산, 공급사슬관리(SCM) 등 부문별로 사업장 특성에 맞게 가중치를 부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체 진단평가서의 특징은 발전 단계별 생산및 경영 수준의 질적차이를 명시토록 함으로써 전략적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데 있다.
또 전략적 의도보다는 실제 구현된 역량을 중심으로 작성토록 했으며 외부도움없이 자신의 생산경영 역량을 주기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심사위원회는 기업이 작성한 자체 진단평가서를 관련자료와 함께 검토한 뒤 현장을 방문, 자체 평가서를 검증하고 재평가했다.
마지막 3차 평가는 심사위원회의 최종 종합심사를 통해 이뤄졌다.
총합생산성과 수익률, 시장점유율, 재고회전율 등 재무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지표와 현장에서 확인된 생산성과 등 양축을 바탕으로 실시됐다.
세차례에 걸친 조사결과를 1천전 만점으로 환산, 우수 공장을 최종 선정했다.
배점은 △전사적 혁신프로그램과 프로세스 통합 등 전략부문(2백점) △제품개발과 생산시스템 개선, 공급사슬관리 등 세분야에 대한 전략의 집행수준(5백점) △영업이익률 등 경영성과지표와 품질,원가 등 생산성과 등을 종합한 성과측정(3백점)으로 구성됐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개발한 생산경영 6개 영역과 경쟁성과 7개 영역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장경영지수를 산출, 현장심사와 종합심사를 통해 우수 공장을 발굴했다.
1차 조사는 생산경영 역량평가및 실태조사를 설문방식으로 실시했다.
공장조직운영과 협력업체의 개발및 운영, 정보시스템 활용 등을 주관적 설문으로 조사했다.
원가와 품질, 납기, 유연성 등의 생산성과를 99년 실적수준과 개선율을 대비, 평가했다.
2차 평가는 현장실사를 통한 생산경영 역량 평가에 주안점을 두었다.
우선 87개 항목으로 구성된 자체진단 평가서를 해당업체로부터 받은 뒤 개발과 생산, 공급사슬관리(SCM) 등 부문별로 사업장 특성에 맞게 가중치를 부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체 진단평가서의 특징은 발전 단계별 생산및 경영 수준의 질적차이를 명시토록 함으로써 전략적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데 있다.
또 전략적 의도보다는 실제 구현된 역량을 중심으로 작성토록 했으며 외부도움없이 자신의 생산경영 역량을 주기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심사위원회는 기업이 작성한 자체 진단평가서를 관련자료와 함께 검토한 뒤 현장을 방문, 자체 평가서를 검증하고 재평가했다.
마지막 3차 평가는 심사위원회의 최종 종합심사를 통해 이뤄졌다.
총합생산성과 수익률, 시장점유율, 재고회전율 등 재무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지표와 현장에서 확인된 생산성과 등 양축을 바탕으로 실시됐다.
세차례에 걸친 조사결과를 1천전 만점으로 환산, 우수 공장을 최종 선정했다.
배점은 △전사적 혁신프로그램과 프로세스 통합 등 전략부문(2백점) △제품개발과 생산시스템 개선, 공급사슬관리 등 세분야에 대한 전략의 집행수준(5백점) △영업이익률 등 경영성과지표와 품질,원가 등 생산성과 등을 종합한 성과측정(3백점)으로 구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