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지원이나 경협 등에 관한 태도에서 우리 국민들은 대체적으로 인도주의적 접근방식보다 경제논리가 앞서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김대중 대통령 임기내에 북한특수가 발생할 것으로는 보지 않는 등 전반적인 대북마인드가 냉정하고 합리적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 경협은 경제논리로 =북한과의 경협이 "경제논리에 입각해서 이뤄져야 한다"(64.3%)는 의견이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실시돼야 한다"(35.7%)는 의견보다 두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분보다는 실리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최근 우리 경제의 어려운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별이나 가계소득별, 교육수준별로는 입장차가 적었지만 성별로는 여자(70.3%), 특히 가계를 실질적으로 꾸려가는 가정주부(71.0%)들이 경제논리에 입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와관련, 현대경제연구원 박태일 연구위원은 "지난번 남북정상회담 직후보다 남측 사람들이 경협문제에 대해 좀더 냉정해진 것 같다"면서 "최근 구조조정 문제 등 전반적으로 경제적 압박을 받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며 경제사정에 따라 태도가 바뀔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반해 북한지역이 고향인 할아버지들과 대전.충청지역 거주자들,직업이 농.림.어업 또는 무직인 사람들은 경협을 온정주의적 시각에서 보는 경향이 여타 응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세(42~46%)했다.

<> 남한에도 이익돼야 북한지원 =우리 정부의 "북한지원"에 있어서도 응답자들은 동일한 입장을 취했다.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인도적 차원에서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도주의적 접근(40.0%)보다는 "서로가 이익이 되는 범위내에서만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실리적 접근(60.0%)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남자(53.7%)보다 여자(66.5%)가, 학력이 낮을수록(중졸이하 69.4%, 대학이상 55.4%), 월가계소득이 낮을수록(150만원 미만 63.8%, 250만원 이상 54.%) 상호주의적 입장을 찬성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해 최근 김대중 대통령이 밝힌 입장과는 다소 배치되는 것으로 주목되는 대목이다.

김 대통령은 지난 9월30일 모 지방지와의 창간특별회견을 통해 "우리가 북한의 경제를 발전시키고 기업을 일으키는 것은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해서 추진하지만 식량난에 고통받는 북한 동포들을 도와주는 일은 인도적인 차원"이라며 "이는 상호주의가 될 수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한지원 방식에 있어 유일하게 학생층(51.0%)만이 인도주의적 접근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답변해 눈길을 끌었다.

<> 단시일내 북한특수에는 비관적 ="김대중 대통령 임기에 북한에서 대규모 특수가 발생할 것으로 보는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비관적인 견해(63.2%)가 낙관적인 견해(30.7%)보다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특수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는 연령별로는 40대(71.6%)에서, 직업별로는 자영업자(8.2%)와 학생(69.4%) 계층에서 많이 나왔다.

반면 실업자들(44.4%)과 화이트칼라 계층(35.8%), 월 가계소득이 1백50만원 미만의 저소득계층은 북한특수에 거는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협의 우선분야 1위는 "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시설"(35.4%)이 차지했다.

다음으로 "농업"(18.1%), "자원, 에너지"(15.8%), "생필품 등 경공업"(14.7%) 등이 뒤를 이었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