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사가 제정한 제19회 다산경제학상 시상식이 12일 오전 본사 18층 다산홀에서 열렸다.

시상식에서 김영용 한국경제신문사장은 올해 수상자인 김병주(경제학) 서강대 교수에게 1천만원의 연구비와 다산 정약용의 흉상이 새겨진 순은제 상패를 수여했다.

김 교수는 "이번 상은 특정한 논문이나 연구결과물보다는 30년 동안 대학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활동을 해온 자세에 대한 평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상 소감은.

"우선 다산경제학상을 제정한 한국경제신문사와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린다.

사실 우리나라 금융경제학자들은 죄인이나 마찬가지다.

IMF 구제금융이라는 긴급한 사태를 맞이할 때까지 금융을 연구한 학자들이 무엇을 했느냐에 대해서는 학자적 양심에 비춰 할 말이 없다"

-오랫동안 금융분야를 연구해 왔는데 한국의 금융산업을 평가한다면.

"금융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지난 66년과 비교하면 외형적으로 큰 발전을 했다.

금융기관 수나 상품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하지만 금융은 실물분야, 특히 기업이나 정부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적으로 얼마나 수준이 높아졌는지는 의문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2차 금융구조조정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

-예금부분보장제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데.

"예금부분보장제의 근본 취지는 소액예금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20세기 초 대공황 직후 이 제도를 도입한 미국의 경우 역시 소액예금자의 파산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우리나라도 이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제도시행에 따른 급격한 신용경색 또는 금융시장 교란인데 현 상황을 고려하면 우려되는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내년부터 시행은 하되 보장한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국내에도 은행 대형화 움직임이 일고 있는데.

"은행 대형화를 선도하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를 보면 전산부문 통합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의 경우 점포나 인력감축이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 중요한 문제는 건전한 은행들끼리의 합병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

---------------------------------------------------------------

[ 김병주 교수 약력 ]

△ 1939년생
△ 서울대 경제학과
△ 서울대 대학원 경제학석사
△ 미 프린스턴대학원 경제학박사
△ 서강대 경제정책대학원장
△ 국무총리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 금융산업발전심의회 위원장
△ 금융개혁위원회 부위원장
△ 내무부 지방세심의위원회 위원(現)
△ 서강대 교수(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