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직장을 구한다"

야후(코리아) 첫 화면에서 "취업"이란 단어를 검색하면 10만개가 넘는 웹페이지를 찾았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그만큼 인터넷은 많은 취업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 국내 인터넷에 올라 있는 취업 관련 사이트는 약 1천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다.

포털서비스를 지향하는 곳은 대부분 별도의 취업코너를 개설해 놓을 정도로 인터넷사용자들의 인기도 높다.

특히 별도 광고를 내지 않은채 인터넷으로 채용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인터넷 활용은 취업의 필수 요건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벤처기업이나 외국계 기업, 그리고 건실한 중소기업에 대한 알찬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취업정보 사이트는 공신력이 높을뿐 아니라 풍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또 최근 외국계 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외국계 업체의 취업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사이트도 늘어나고 있다.

코리아넷이나 캐리어써포트, 아시아네트, 커리어모자이크 등을 이용하면 외국계 기업에 대한 알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사이트에서는 외국 현지 취업은 물론 현지 생활을 위한 다양한 정보도 제공해 주고 있다.

특별한 경력의 소유자들을 위한 사이트도 많다.

국방취업지원센터는 전역 군인들을 위한 취업정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병역특례업체들의 구인 서비스는 취업경쟁력연구소에서 지원하고 있다.

또 여성들을 위한 취업전문 사이트는 사단법인 여성자원금고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취업사이트중 상당수가 영세한 규모로 운영되고 있어 사이트 운영 규정에 대한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회원으로 등록해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의 경우 이용자 약관을 확인하는게 좋다.

개인의 정보를 무단으로 상업적 목적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채용되면 일정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 사이트도 있다.

물론 유료로 운영하면 안전하고 정보의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하지 않는 직장에 취업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또 직원을 채용하는 광고처럼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학원수강생을 모집하는 광고도 있다.

이밖에 특정 회사에 취업하기 전에 회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에 등록된 기업의 경우 각종 인터넷 증권정보사이트나 공시사이트를 통해 회사의 상황을 개략적이나마 들여다 볼수 있다.

만약 취업한 기업이 법정관리에 있다거나 파산직전에 있을 경우 애써 취직했지만 다시 실업자 신세가 될지도 모르기 때문에 사전 정보 파악은 필수라고 볼수 있다.

또 각종 사이트에는 취업관련 채팅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이를 통해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것도 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수도 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