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열린 당정협의에서 수도권신도시 개발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함에 따라 앞으로 신도시가 건설될지,아니면 무산될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업계 일부에서는 당이 판교 등 수도권 신도시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신도시 조성계획은 사실상 무산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반면 건설교통부와 부동산전문가들은 수도권 난개발을 방지하고 주택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선 신도시 개발외에는 대안이 없다며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는 있지만 개발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날 당정협의 내용도 민주당과 건교부는 서로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신도시 개발 유보''로 판단하고 있는 반면 건교부측은 ''개발 신중 검토''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당에서도 신도시 개발 자체를 반대한다기 보다는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문제삼는 측면이 많다.

이에따라 수도권 신도시 건설여부는 건교부가 당이 우려하고 있는 수도권 집중억제와 교통유발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보완대책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내놓느냐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건교부도 이같은 당의 입장을 고려해 내달 중순 열리는 당정협의에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이나 지방의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추가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의과정에서 건교부가 판교를 비롯 신도시 대상지역 선정과 개발방식 등 세부적인 내용을 수정하는 등 탄력적인 대응자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특히 판교 건축제한 조치가 연말에 끝나고 당정간의 갈등을 오래 끌수록 불리하다는 점을 양측 모두 인식하고 있어 예상외로 쉽게 의견접근을 이룰 수도 있다.

문제는 지금과 같은 추세대로라면 조만간 주택공급 부족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불거질 우려가 있다는데 있다.

국토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수도권에 1백만가구의 신규주택이 건설돼야 하나 기존 도시의 재개발·재건축과 택지개발을 통한 주택공급은 60만가구 정도에 그친다.

부족물량을 채우기 위해서는 최소한 1천8백50만평의 신규토지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어떤 식으로든 수도권에서 택지를 공급해야 된다는 점을 감안할때 논란의 여지가 많은 판교 신도시 개발은 당분간 유보하고 화성 신도시를 먼저 개발하자는 의견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