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세계화' 국내외 단체 연대투쟁 .. ASEM NGO 활동결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3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기간동안 국내외 비정부기구(NGO)들도 각국 정상만큼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특히 한국에서의 이번 NGO활동은 지난해 11월 미국 시애틀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와 지난달 체코 프라하의 국제통화기금(IMF)총회 등에서 세계 NGO들이 벌여온 ''반세계화 국제연대투쟁''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각국의 NGO들은 ''ASEM 2000 민간포럼''과 ''서울 행동의 날''행사 등이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어두운 면을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국내 NGO들과 해외 NGO들이 연대투쟁을 벌였다는 점도 큰 성과로 꼽힌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를 반대하는 국내 1백3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아셈2000 민간포럼''(공동대표 단병호)은 지난 18,19일 이틀간 서울 건국대에서 ''세계화에 도전하는 민중의 연대와 행동''을 주제로 노동 인권 환경 빈곤 종교 등 13개 분야에 걸쳐 워크숍을 열었다.
민간포럼은 20일 서울 올림픽공원 앞에서 8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아셈 신자유주의 반대 서울행동의 날'' 행사를 갖고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
세상을 바꾸자''라는 제목의 ''서울 선언문''을 채택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부정적인 측면을 전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그동안 이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여러 시민단체들과 함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도 큰 성과"라고 말했다.
외국 NGO관계자들도 "이번 집회와 시위는 각국 정상들에게 유럽과 아시아 민중들의 힘과 뜻을 보여준 행사였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와 스웨덴은 이번 ASEM에서 공동으로 "세계화에 관한 라운드 테이블 회의"를 열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여기에서 세계화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행사에 앞서 각국 고위관리 대표들과 NGO 대표들은 ASEM 출범후 처음으로 공식 회동을 가졌다.
민간포럼 관계자는 "이같은 움직임은 각국 정부가 노동자와 시민세력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
특히 한국에서의 이번 NGO활동은 지난해 11월 미국 시애틀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와 지난달 체코 프라하의 국제통화기금(IMF)총회 등에서 세계 NGO들이 벌여온 ''반세계화 국제연대투쟁''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각국의 NGO들은 ''ASEM 2000 민간포럼''과 ''서울 행동의 날''행사 등이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어두운 면을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국내 NGO들과 해외 NGO들이 연대투쟁을 벌였다는 점도 큰 성과로 꼽힌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를 반대하는 국내 1백3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아셈2000 민간포럼''(공동대표 단병호)은 지난 18,19일 이틀간 서울 건국대에서 ''세계화에 도전하는 민중의 연대와 행동''을 주제로 노동 인권 환경 빈곤 종교 등 13개 분야에 걸쳐 워크숍을 열었다.
민간포럼은 20일 서울 올림픽공원 앞에서 8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아셈 신자유주의 반대 서울행동의 날'' 행사를 갖고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
세상을 바꾸자''라는 제목의 ''서울 선언문''을 채택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부정적인 측면을 전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그동안 이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여러 시민단체들과 함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도 큰 성과"라고 말했다.
외국 NGO관계자들도 "이번 집회와 시위는 각국 정상들에게 유럽과 아시아 민중들의 힘과 뜻을 보여준 행사였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와 스웨덴은 이번 ASEM에서 공동으로 "세계화에 관한 라운드 테이블 회의"를 열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여기에서 세계화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행사에 앞서 각국 고위관리 대표들과 NGO 대표들은 ASEM 출범후 처음으로 공식 회동을 가졌다.
민간포럼 관계자는 "이같은 움직임은 각국 정부가 노동자와 시민세력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