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인천공항의 취약한 재무구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3월말 개항을 앞둔 인천국제공항이 빚더미 때문에 만성적인 적자운영이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매우 염려스러운 점이다.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을 만들겠다는 야심찬 목표아래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인천공항이 부실공사 시비에 이어 부실운영 우려마저 대두되는 것은 유감이다.
관계당국은 일이 왜 이 지경이 됐는지 원인과 책임소재를 철저히 따지는 한편 재무구조 개선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인천공항의 빚은 9월말 현재 3조9백52억원인데 마무리 공사비와 운영자금까지 고려하면 4조3천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러니 개항 뒤에도 상당기간 적자가 누적될 것은 뻔하다.
당장 내년만 해도 차입금 이자 4천1백1억원,인건비 수선유지비 등 운영비로 1천9백42억원,각종 세금으로 2천5백18억원이 필요한데 임대료 공항이용료 등 예상수입은 4천13억원에 불과해 약 4천6백억원의 손실발생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사정이 그렇다면 인천공항이 또다른 고질적인 부실덩이가 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취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배후지원단지 매각,지방세 감면,비핵심업무 외주 등의 자구노력 외에도 약 9천억원의 재정출자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물론 가뜩이나 어려운 재정형편상 추가출자가 쉽지는 않겠지만 부채누적의 근본원인이 국고지원 부족에 있었던 만큼 결자해지 차원에서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
공기업 민영화의 일환으로 인천공항 지분의 51%이상을 오는 2002년까지 매각할 예정인 만큼 큰 문제 없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런 재무구조로는 지분매각 자체가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공항운영권을 외국기업에 넘기려 한다는 세간의 의혹도 제기됐는데, 인천공항의 운영권을 외국기업에 넘기는 문제는 자금조달 측면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국가 기간시설이라는 점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을 만들겠다는 야심찬 목표아래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인천공항이 부실공사 시비에 이어 부실운영 우려마저 대두되는 것은 유감이다.
관계당국은 일이 왜 이 지경이 됐는지 원인과 책임소재를 철저히 따지는 한편 재무구조 개선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인천공항의 빚은 9월말 현재 3조9백52억원인데 마무리 공사비와 운영자금까지 고려하면 4조3천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러니 개항 뒤에도 상당기간 적자가 누적될 것은 뻔하다.
당장 내년만 해도 차입금 이자 4천1백1억원,인건비 수선유지비 등 운영비로 1천9백42억원,각종 세금으로 2천5백18억원이 필요한데 임대료 공항이용료 등 예상수입은 4천13억원에 불과해 약 4천6백억원의 손실발생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사정이 그렇다면 인천공항이 또다른 고질적인 부실덩이가 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취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배후지원단지 매각,지방세 감면,비핵심업무 외주 등의 자구노력 외에도 약 9천억원의 재정출자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물론 가뜩이나 어려운 재정형편상 추가출자가 쉽지는 않겠지만 부채누적의 근본원인이 국고지원 부족에 있었던 만큼 결자해지 차원에서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
공기업 민영화의 일환으로 인천공항 지분의 51%이상을 오는 2002년까지 매각할 예정인 만큼 큰 문제 없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런 재무구조로는 지분매각 자체가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공항운영권을 외국기업에 넘기려 한다는 세간의 의혹도 제기됐는데, 인천공항의 운영권을 외국기업에 넘기는 문제는 자금조달 측면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국가 기간시설이라는 점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