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계열 신용등급 일제히 올라..중앙제지는 한단계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계열분리된 현대자동차그룹내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일제히 상향 조정됐다.
반면 중앙제지의 신용등급은 한 단계 떨어졌다.
한국신용평가는 29일 현대정공 현대자동차의 회사채와 기아자동차의 기업어음에 대한 신용등급을 한단계씩 높인다고 밝혔다.
현대정공과 현대자동차의 회사채는 종전 BBB에서 BBB+로 상향됐으며 기아자동차의 기업어음은 A3에서 A3+로 한단계 높은 신용등급을 받았다.
이들 기업의 경우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됨에 따라 그룹 관련 부실요인이 전가될 가능성이 낮아졌고 계열사 지원에 대한 부담도 해소됐다고 한신평은 평가했다.
한편 한국신용정보는 29일 기업인수합병(M&A) 문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앙제지 회사채에 대한 신용등급을 BB에서 BB-로 한단계 낮췄다고 밝혔다.
주력제품인 백판지 수출여건 및 내수 수급이 악화되고 있는데다 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아 경영권이 불안정하다는 점이 신용등급 하향 조정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
반면 중앙제지의 신용등급은 한 단계 떨어졌다.
한국신용평가는 29일 현대정공 현대자동차의 회사채와 기아자동차의 기업어음에 대한 신용등급을 한단계씩 높인다고 밝혔다.
현대정공과 현대자동차의 회사채는 종전 BBB에서 BBB+로 상향됐으며 기아자동차의 기업어음은 A3에서 A3+로 한단계 높은 신용등급을 받았다.
이들 기업의 경우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됨에 따라 그룹 관련 부실요인이 전가될 가능성이 낮아졌고 계열사 지원에 대한 부담도 해소됐다고 한신평은 평가했다.
한편 한국신용정보는 29일 기업인수합병(M&A) 문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앙제지 회사채에 대한 신용등급을 BB에서 BB-로 한단계 낮췄다고 밝혔다.
주력제품인 백판지 수출여건 및 내수 수급이 악화되고 있는데다 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아 경영권이 불안정하다는 점이 신용등급 하향 조정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