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건설이 퇴출되면 금융기관들도 손실부담이 크다.

"불가피한 선택"을 하는데 따른 댓가로 금융기관들은 약 2조원가량의 충당금을 추가로 쌓아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8월말 현재 동아건설의 금융권 총부채는 3조7천5백73억원에 달한다.

주채권은행인 서울은행이 5천4백76억원으로 가장 많고 외환은행이 4천3백95억원,한빛은행이 2천9백93억원 등이다.

금융기관들은 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 채권에 대해 1백%의 충당금을 쌓아야한다.

담보를 잡고 있는 여신이더라도 20%이상의 충당금을 설정해야한다.

그동안 은행들은 동아건설 여신에 대해 20-30%의 충당금을 쌓아뒀다.

3조7천억원의 여신중 담보여신 8천억원을 뺀 2조9천억원에 대해 금융권 전체적으로 9천억원가량의 충당금만 설정했다는 얘기다.

앞으로 남은 2조원가량의 충당금을 추가로 쌓아야하는 만큼 금융기관들은 큰 부담을 안게됐다.

서울은행과 한빛은행은 동아건설 퇴출을 예상하고 정부에 요청한 공적자금 내역에 미리 추가충당금 부담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신규자금지원을 요청하지 않고 독자생존을 주장한 조흥 외환은행은 추가충당금 부담이 클 전망이다.

추가부담이 크면 클 수록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 비율이 하락하는 불이익도 예상된다.

이에따라 다음달 초 발표될 은행경영평가위원회의 경영정상화 평가결과에서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채권단 회의에서 외환은행이 신규자금 지원에 찬성표를 던진 것도 이같은 은행입장을 고려한 결정이라는 후문이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