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대전] '인증제품 수요확대방안' 세미나 지상 중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월2일 오후 2시 여의도 중소기업종합전시장 세미나실에서 "인증제품의 수요기반 확대방안"에 관한 세미나가 열린다.
EM NT GR 등 각종 신기술 인증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할 이번 세미나에선 조달청 한국전력공사 대한주택공사 기술신용보증기금 기계공제조합 기술표준원에서 각각 전문가들이 나와 <>구매시책 <>지원시책 <>인증제도 등에 대해 설명한다.
이번 세미나에서 선보일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조달청 우수제품 선정제도 소개=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자금 세제 기술지원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제품에 대한 판로지원이 가장 절실하다.
조달청은 수의계약을 체결해 납품처마다 별도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도 수요기관이 요청만하면 즉시 납품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제3자 단가계약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납품을 편리하게 하는 등 여러가지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
<>한국전력공사 인증제품 수요기반 확대계획=기자재 공급자 등록자격을 확대 시행해 경쟁입찰을 확대하는 등 입찰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입찰참가 자격을 크게 넓혀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높여 기자재의 품질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기자재 판매업체의 민원도 해소한다는 것.
<>기술신용보증기금 인증제품에 대한 지원시책=기술우대보증제도,기술평가보증제도,기술력한도가산제도,우수기술기업발굴.육성제도,기술창업평가보증제도 등에 대해 소개한다.
<>기계공제조합 EM제품 보증업무 안내=인증제품에 대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EM제품에 대해 각종 채무이행보증을 해주고 있다.
입찰보증 계약보증 차액보증 하자보증 지급보증이 있다.
하자보증을 제외한 각종 보증의 한도는 출자지분에 대해 최고 총80배까지 한도 적용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신기술 및 우수품질 인증제도 활성화=NT EM 등의 인증을 받은 제품은 지난 1년간 매출 실적이 전년 동기에 비해 수출 1백35% 증가하는 등 수출이 크게 늘고 있다.
앞으로 인증제도는 기계류,핵심부품,소재산업 육성대책과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
인증평가의 신뢰성 확보와 실효성 향상에 중점을 둬야한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EM NT GR 등 각종 신기술 인증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할 이번 세미나에선 조달청 한국전력공사 대한주택공사 기술신용보증기금 기계공제조합 기술표준원에서 각각 전문가들이 나와 <>구매시책 <>지원시책 <>인증제도 등에 대해 설명한다.
이번 세미나에서 선보일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조달청 우수제품 선정제도 소개=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자금 세제 기술지원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제품에 대한 판로지원이 가장 절실하다.
조달청은 수의계약을 체결해 납품처마다 별도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도 수요기관이 요청만하면 즉시 납품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제3자 단가계약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납품을 편리하게 하는 등 여러가지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
<>한국전력공사 인증제품 수요기반 확대계획=기자재 공급자 등록자격을 확대 시행해 경쟁입찰을 확대하는 등 입찰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입찰참가 자격을 크게 넓혀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높여 기자재의 품질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기자재 판매업체의 민원도 해소한다는 것.
<>기술신용보증기금 인증제품에 대한 지원시책=기술우대보증제도,기술평가보증제도,기술력한도가산제도,우수기술기업발굴.육성제도,기술창업평가보증제도 등에 대해 소개한다.
<>기계공제조합 EM제품 보증업무 안내=인증제품에 대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EM제품에 대해 각종 채무이행보증을 해주고 있다.
입찰보증 계약보증 차액보증 하자보증 지급보증이 있다.
하자보증을 제외한 각종 보증의 한도는 출자지분에 대해 최고 총80배까지 한도 적용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신기술 및 우수품질 인증제도 활성화=NT EM 등의 인증을 받은 제품은 지난 1년간 매출 실적이 전년 동기에 비해 수출 1백35% 증가하는 등 수출이 크게 늘고 있다.
앞으로 인증제도는 기계류,핵심부품,소재산업 육성대책과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
인증평가의 신뢰성 확보와 실효성 향상에 중점을 둬야한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