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투입대상 은행의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로 이관하는 것은 크게 두가지 목적에서 추진되고 있다.

우선 워크아웃기업 관리 주체를 일원화해 기업구조조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다.

보통 워크아웃에 들어간 기업마다 채권금융기관이 20~30개씩이나 된다.

주채권은행이라고 해도 여신비율이 10~20% 수준에 불과해 채권단간 이견 조율이 쉽지 않았다.

이러다보니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신규자금 지원 등 금융지원을 신속히 결정하지 못해 오히려 기업에 치명타를 가하는 경우도 많았다.

워크아웃 여신이 이관되면 한빛은행이 주관하던 대우계열사나 서울은행이 담당하던 진도 등의 향후 경영정상화작업은 자산관리공사가 주관하게 된다.

자산관리공사는 이들 워크아웃 기업의 여신을 이전과 같이 몇개로 묶어 해외기관에 되파는 것이 아니라 경영정상화를 1차적인 목표로 삼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각 워크아웃 기업마다 해외투자자를 끌어들이는 동시에 자산관리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현물출자할 예정이다.

자산관리공사는 이들 은행으로부터 워크아웃 여신 외에 고정이하 여신도 전액 사줄 예정이다.

5개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이 실질적인 ''클린뱅크''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은행들은 부실채권 매각에 따른 손실금에 대해서는 정부로부터 공적자금을 투입받아 채우게 된다.

또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독자생존 판정을 받은 조흥은행과 외환은행도 신청을 하면 시장가격에 매입해 주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하지만 매각대금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를 놓고 자산관리공사와 은행들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최종 매입규모는 다소 달라질 수도 있다.

자산관리공사는 부실채권은 무담보일 경우 3%, 담보가 있는 채권의 경우는 최근 경락률을 기준으로 사줄 방침이다.

또 워크아웃여신은 은행과 공동으로 자산실사를 벌인 뒤 실제 가격에 따라 매입키로 했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조만간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 워크아웃 기업의 여신은 자산관리공사에 넘기지 않고 계속 보유하는 것이 은행들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