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벤처기업인들의 해외 재산도피에 대한 수사에 나서면서 젊은 벤처기업가들의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정현준·진승현씨의 사건에 대해 "그들은 벤처기업가가 아니라 ''금융투기꾼''"이라고 몰아붙이던 벤처 1세대가 수사 대상이 돼 충격을 더해주고 있다.

검찰은 이번에 문제가 된 사안 가운데 엠바이엔의 해외 재산유출의혹을 표본사례로 보고 있다.

다른 벤처기업가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재산을 빼돌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엠바이엔의 김광수 사장은 작년 9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세운 반도체칩 제조관련 벤처기업인 IPC의 양준열 사장으로부터 투자자금유치를 의뢰받고 지난 3월 두차례에 걸쳐 총 5백35만달러를 조달해 주었다.

김 사장 자신이 대주주인 엠바이엔이 2백만달러,엠바이엔 등이 대주주인 TLI(대표 김달수)가 50만달러를 댔다.

현대투신운용(75만달러)과 창투사 등 국내투자자들도 2백10만달러를 출자했다.

김 사장은 이 과정에서 양 사장으로부터 소유주식의 절반인 4백만주를 무상으로 받았다.

이로써 김 사장은 IPC의 최대주주가 됐으며 지난 4월 IPC에서 2백60만달러를 가지급금 형태로 빌려갔다.

그리고 그 돈으로 미국 실리콘밸리 주택가인 로스 알토스에 대지 1천2백평에 달하는 호화주택을 구입했다.

김 사장은 1년뒤에 갚기로 하고 이 돈을 빌렸으나 조기상환 압력을 받아왔다고 주장했다.

자본금(5백25만달러)의 절반을 빌려준 뒤 받지 못해 자금사정이 어려워진 IPC는 국내투자자로부터 동의를 받아 미국 현지법원에 청산신청을 냈다.

이에 대응,김 사장측은 미국 법원에 회사청산금지 가처분신청을 내고 맞서고 있다.

국내투자자들은 김 사장의 외화유출과 배임에 대해 소송을 준비중이다.

김 사장측에서는 "12월말까지 미국 집을 팔아 돈을 갚을 예정이며 대출 자체도 불법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상욱 기자 sangw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