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어드바이스] 쇼트퍼팅땐 그립 단단히 쥐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립은 작은 새를 손에 쥐듯 가볍게 잡으라고 말한다.
그러나 60㎝ 안팎의 쇼트퍼팅을 할 때만큼은 조금 세게 잡는 것이 좋다.
쇼트퍼팅에 성공하려면 스윙 내내 그립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어드레스 때 그립을 가볍게 잡으면 테이크백을 하는 동안 좀더 세게 잡으려는 욕구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스윙 도중 퍼터페이스가 뒤틀릴 위험이 있다.
골퍼들은 비단 쇼트퍼팅뿐 아니라 중·장거리퍼팅을 할 때에도 퍼터헤드를 뒤쪽으로 가져가면서 클럽을 세게 쥐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는 쇼트퍼팅에서는 치명적 결과를 초래한다.
쇼트퍼팅을 할 때에는 처음부터 그립을 좀 단단히 쥐고 단호하게 스트로크를 해줘야 한다.
쇼트퍼팅은 퍼터헤드를 볼에 갖다대고마는 단순한 ''터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
그러나 60㎝ 안팎의 쇼트퍼팅을 할 때만큼은 조금 세게 잡는 것이 좋다.
쇼트퍼팅에 성공하려면 스윙 내내 그립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어드레스 때 그립을 가볍게 잡으면 테이크백을 하는 동안 좀더 세게 잡으려는 욕구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스윙 도중 퍼터페이스가 뒤틀릴 위험이 있다.
골퍼들은 비단 쇼트퍼팅뿐 아니라 중·장거리퍼팅을 할 때에도 퍼터헤드를 뒤쪽으로 가져가면서 클럽을 세게 쥐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는 쇼트퍼팅에서는 치명적 결과를 초래한다.
쇼트퍼팅을 할 때에는 처음부터 그립을 좀 단단히 쥐고 단호하게 스트로크를 해줘야 한다.
쇼트퍼팅은 퍼터헤드를 볼에 갖다대고마는 단순한 ''터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