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나서는등 반발도 적지않은 모양이다.
국민은행 노동조합이 합병논의 철회를 요구하며 은행장을 사실상 감금한 것은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온당치 않다.
이런 형태의 집단행동으로 구조조정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한마디로 비이성적이다.
2차 금융구조조정은 불가피하고 또 더이상 미룰 성질의 것도 아니라는데 대체로 인식이 모아졌다고 볼 때 더욱 그러하다.
금융노조도 은행장 감금이나 전면 파업 등으로 2차 금융구조조정 자체를 막겠다고 나설 것이 아니라 합병대상선정 등 구체적인 각론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소매금융에 치중해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이 과연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느냐는 의문도 없지않은 것은 사실이다.
물론 어떤 은행과 어떤 은행을 합병시킬 것이냐는 것은 판단의 문제고 어떻게 짝을 짓더라도 찬·반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금감위나 해당 은행장들은 짝짓기의 배경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그것이 최선의 선택임을 납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옳다.
우리는 기업금융 중심인 은행과 우량 소매금융 은행간 합병을 통해 리딩뱅크가 나오게되기를 바랐다.
그러나 공적자금이 투입된 부실은행과 우량은행간 합병은 우량은행 마저 부실화 될 우려가 있다는 시각도 그 나름대로 논리적이다.
또 짝짓기의 대상을 선정하는 데는 외국인대주주 등 지배구조문제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최선이 아니라 차선을 택할 수밖에 없는 제약도 없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
2차 금융구조조정을 위해서는 해당은행 노사는 물론이고 정부도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겠다는 자세가 긴요하다.
합병 지주회사편입 등을 통한 새로운 은행구도 구축은 불가피하고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구체적인 방법론을 논의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파업 등 집단행동이 능사일 수 없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동시에 정부나 은행경영층도 고용감축을 최소화하면서도 시너지 효과를 확대할 수 있는 대안이 있다면 이를 수용하는데 인색하지 말아야할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