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청와대 개편후 개각 .. 'DJ 국정개혁구상 뭘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대중 대통령이 14일 귀국함에 따라 출국전 약속했던 ''국정개혁''의 내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 대통령은 현재의 위기상황을 타개하는 방안으로 ''여권개편''이란 조직정비 수준을 넘어 총체적인 국정쇄신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김 대통령은 당정개편과 함께 야당과의 관계개선, 자민련과의 공조복원, 주요 지지기반인 중산층 및 서민을 위한 민심 수습책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고위관계자는 개각과 관련, "현재 내각은 개혁정책을 계획대로 추진중인 만큼 개각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시기적으로 민주당과 청와대 개편때 동시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선 당.청와대 개편, 후 개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당정 개편 등의 모든 문제는 김대중 대통령이 최종 결정할 사안"이라고 전제, "그러나 일에는 우선 순위가 있는 것이며 민주당과 청와대 등을 개편한뒤 내각개편을 논의하는 것이 순서"라고 설명했다.
개편시기에 대해서는 "민주당은 국회에 전념해야 하고 김 대통령도 여야와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임시국회에서 예산안이 처리된 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당정쇄신 =당과 청와대 개편은 금년말, 개각은 대통령 임기 4년차가 시작되는 내년 2월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당직개편과 청와대 경제 관계자들의 물갈이가 단행된후 조각수준의 대폭적인 정부개편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강하다.
이 과정에서 임동원 국정원장과 통일부 장관의 교체도 점쳐지고 있다.
◆ 비 한나라당 연대구축 =자민련과의 완전한 공조복원 차원을 넘어 민국당과 한국신당, 무소속을 한데 묶는 소정계개편이 적극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의 열세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서는 안정적인 정국운영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민주당 당직자는 "비한나라당 세력이 통합하는게 가장 좋은 시나리오지만 현실적으로 이것이 어렵다면 단순한 정책연대 차원을 넘는 확고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DJP 회동에서는 권력분점을 통한 자민련과의 완전한 공조복원이 논의될 것이라는 전언이다.
아울러 군소정당 등과의 연대문제도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
김 대통령은 현재의 위기상황을 타개하는 방안으로 ''여권개편''이란 조직정비 수준을 넘어 총체적인 국정쇄신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김 대통령은 당정개편과 함께 야당과의 관계개선, 자민련과의 공조복원, 주요 지지기반인 중산층 및 서민을 위한 민심 수습책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고위관계자는 개각과 관련, "현재 내각은 개혁정책을 계획대로 추진중인 만큼 개각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시기적으로 민주당과 청와대 개편때 동시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선 당.청와대 개편, 후 개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당정 개편 등의 모든 문제는 김대중 대통령이 최종 결정할 사안"이라고 전제, "그러나 일에는 우선 순위가 있는 것이며 민주당과 청와대 등을 개편한뒤 내각개편을 논의하는 것이 순서"라고 설명했다.
개편시기에 대해서는 "민주당은 국회에 전념해야 하고 김 대통령도 여야와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임시국회에서 예산안이 처리된 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당정쇄신 =당과 청와대 개편은 금년말, 개각은 대통령 임기 4년차가 시작되는 내년 2월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당직개편과 청와대 경제 관계자들의 물갈이가 단행된후 조각수준의 대폭적인 정부개편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강하다.
이 과정에서 임동원 국정원장과 통일부 장관의 교체도 점쳐지고 있다.
◆ 비 한나라당 연대구축 =자민련과의 완전한 공조복원 차원을 넘어 민국당과 한국신당, 무소속을 한데 묶는 소정계개편이 적극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의 열세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서는 안정적인 정국운영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민주당 당직자는 "비한나라당 세력이 통합하는게 가장 좋은 시나리오지만 현실적으로 이것이 어렵다면 단순한 정책연대 차원을 넘는 확고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DJP 회동에서는 권력분점을 통한 자민련과의 완전한 공조복원이 논의될 것이라는 전언이다.
아울러 군소정당 등과의 연대문제도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