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 단행하는 국정개혁은 여권내 인물을 적재적소에 재배치하는 한편 당정의 운영시스템도 개편하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남궁진 청와대 정무수석은 15일 기자들과 만나 "당정개혁때 언론 등이 제기한 문제와 국민들의 여론을 충실히 반영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히고 "그러나 감정적으로 제기하는 문제까지 받아들이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청와대는 당 대표와 총리,청와대 비서실장,국정원장 등 이른바 ''여권 빅4''와 경제팀의 교체 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빅4''중 민주당 서영훈 대표와 임동원 국정원장은 교체쪽으로,이한동 총리는 유임쪽으로 가닥을 잡은 반면 한광옥 비서실장은 교체가능성이 ''반반''이라는 관측이 강하다.

서 대표는 당쇄신 차원에서 교체로 기울었고 후임이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관리형과 실세형이 맞섰으나 여권핵심이 측근정치를 불식하고 시스템에 의한 당운영으로 방향을 설정함에 따라 관리형이 유력하다.

후보중 이수성 이홍구 전 총리는 ''과거 정부 사람''이미지로 일단 배제되고 상대적으로 김중권 최고위원과 김원기 고문이 부상하는 양상이다.

한광옥 실장은 당정간 조율사 역을 잘했다는 평가와 대통령 보좌를 잘못했다는 책임론이 맞서있다.

한 실장이 교체될 경우 후임은 당 대표가 어느 지역 출신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세형 고문,김기재 의원,조승형 전 헌법재판관 등이 후임으로 거명된다.

국정원장 자리는 박지원 전 문화부장관이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팀의 경우 이기호 청와대 경제수석이 연말 개편때 교체되고 진념 재경부 장관을 비롯한 경제각료들은 일단 4대 개혁의 마무리 시점으로 설정한 내년 2월까지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이기호 경제수석은 이날 추가 부실금고 발언과 관련,"책임을 통감한다"며 "어떤 결정이 내려지든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김영근·이재창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