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金重權 대표체제] 차기 大權구도 '빅뱅' 예고 .. 의미와 과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당 김중권 최고위원의 대표 지명은 당내 세력의 재편과 차기 대선구도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약체란 평가를 받아 왔던 김 최고위원이 대표에 지명됨으로써 강력한 대선주자 반열에 올라서게 됐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김 지명자와 동교동계 대표주자인 한화갑 최고위원, 그리고 대중성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인제 최고위원간 ''3두마차'' 체제로 재편되는 모양새를 갖췄다.
김 지명자가 당대표로 성공하면 영남권의 대권주자로 확실히 자리매김되면서 충청권 출신의 이 위원 및 호남출신의 한 위원 등과 함께 여권의 전국적인 지지기반 확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김근태 정동영 최고위원을 포함한 여권내 잠재적 대선주자간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면 당을 활성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게 김대중 대통령의 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김 최고위원의 대표지명은 친정체제 구축을 통해 동서화합을 이루겠다는 김 대통령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 같다"며 "당내 예비주자들간 치열한 물밑경쟁의 신호탄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김 지명자의 행보 여하에 따라서는 역풍이 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지명자가 당 대표로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차기를 겨냥한 행보에 나서려 할 경우 잠재적 차기 주자군의 견제와 반발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번 당개편이 당내 갈등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김 지명자는 당화합을 이뤄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당장 개혁그룹 및 동교동계간 갈등과 동교동계 내부 주도권 다툼, 자신에 대한 ''정통성 시비'' 등 불협화음을 해소해야 한다.
또 당의 원활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집권당의 면모를 일신하면서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한 현안이다.
이외에도 당과 정부의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정부의 개혁작업을 견인하고 영남출신으로서 지역감정을 완화하는 것도 그가 져야할 짐이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
상대적으로 약체란 평가를 받아 왔던 김 최고위원이 대표에 지명됨으로써 강력한 대선주자 반열에 올라서게 됐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김 지명자와 동교동계 대표주자인 한화갑 최고위원, 그리고 대중성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인제 최고위원간 ''3두마차'' 체제로 재편되는 모양새를 갖췄다.
김 지명자가 당대표로 성공하면 영남권의 대권주자로 확실히 자리매김되면서 충청권 출신의 이 위원 및 호남출신의 한 위원 등과 함께 여권의 전국적인 지지기반 확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김근태 정동영 최고위원을 포함한 여권내 잠재적 대선주자간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면 당을 활성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게 김대중 대통령의 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김 최고위원의 대표지명은 친정체제 구축을 통해 동서화합을 이루겠다는 김 대통령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 같다"며 "당내 예비주자들간 치열한 물밑경쟁의 신호탄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김 지명자의 행보 여하에 따라서는 역풍이 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지명자가 당 대표로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차기를 겨냥한 행보에 나서려 할 경우 잠재적 차기 주자군의 견제와 반발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번 당개편이 당내 갈등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김 지명자는 당화합을 이뤄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당장 개혁그룹 및 동교동계간 갈등과 동교동계 내부 주도권 다툼, 자신에 대한 ''정통성 시비'' 등 불협화음을 해소해야 한다.
또 당의 원활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집권당의 면모를 일신하면서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한 현안이다.
이외에도 당과 정부의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정부의 개혁작업을 견인하고 영남출신으로서 지역감정을 완화하는 것도 그가 져야할 짐이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