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시장은 지난 3월29일 개장 때만 해도 제1시장(거래소시장)과 제2시장(코스닥시장)에 버금가는 ''제3의 시장''으로 신생기업과 투자자의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시장기능을 발휘하기는커녕 ''애물단지'' 취급당하는 모습이다.
제3시장 지정기업수는 지난 3월29일 4개사에서 26일 현재 1백29개사로 31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하루 거래대금은 개장 첫날 65억5천8백만원에서 2억4천1백만원으로 27분의 1로 급감했다.
웬만한 코스닥종목 하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기관투자가들은 아예 관심을 끊었다.
일부 지정기업은 정부의 제도개선을 요구하며 집단탈퇴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제3시장이 이처럼 ''개점휴업'' 상태에 빠진 것은 무엇보다 투자자 보호장치가 허술하다는 점 때문이다.
제3시장 기업은 신생기업이라는 특성상 기업정보가 부정확하거나 빈약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는 제3시장을 ''시장''으로 인정하지 않고 장외호가중개시스템(OTCBB)으로 평가절하,감독기능에 소홀했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9월초 퇴출된 꼬까방은 부도 보름전 증자를 실시해 56억원을 투자받고도 정작 4천여만원을 막지 못해 석연치 않은 구석을 남겼다.
특히 퇴출 직전 대주주가 물량을 처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감독기관의 조사다운 조사는 없었다.
일부 지정기업은 성실공시 의무를 외면했다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실례로 한국미디어통신은 영업정지 사실을 제때 공시하지 않아 무기한 거래정지 조치를 받았다.
그나마 시장운영주체인 코스닥증권시장(주)이 회사를 직접 방문해 이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이 바람에 애꿎은 투자자들만 피해를 봤다.
또 일부 투자자는 가격제한폭이 없다는 점을 악용해 요행수를 노린 투기적 매매를 일삼았다.
주가는 이에 따라 하룻동안 10원대에서 10만원대로 급등락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