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안전상의 이유로 가수 이승환 씨의 구미 문화예술회관 콘서트 대관을 취소하자 시민단체에서는 '항의' 표시로 촛불 콘서트를 열고, 국민의힘 도·시 의원들은 '강력 지지' 성명을 내는 등 지역 민심이 쪼개지는 양상이다.구미 YMCA, 구미 참여연대, 민주노총 구미지부, 참교육 학부모회 구미지회 등의 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퇴진 구미 시국회의는 오는 27일 오후 구미시청 앞에서 '이승환 구미 콘서트 취소한 극우의 낭만도시 거부한다'는 주제로 촛불 콘서트를 열기로 했다. 이들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퇴진과 국민의힘 해체 등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연 뒤 가수 이승환 영상 콘서트를 진행할 예정이다.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경북도·구미시 도·시의원들은 "구미시의 콘서트 대관 취소 결정을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시민의 안전과 충돌 방지를 통해 혹시 모를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구미시의 결정에 박수를 보낸다"며 "공연 취소를 반대하는 이들이 '탄핵 반대 도시', '구미시장 사퇴' 등 원색적 문구를 사용하며 구미 시민들을 선동하고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지난 23일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승환 측이 법률대리인을 통해 '정치적 언행을 하지 않겠다는 첨부된 서약서에 날인할 의사가 없다'는 반대 의사를 서면으로 밝혀왔다"며 "관객과 보수단체 간의 물리적 충돌이 우려되는 상황에 안전상 어쩔 수 없이 콘서트를 취소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승환은 구미시장을 상대로 소송을 예고했다. 지난 24일 법률대리인 임재성 변호사는 김장호 구미시장
한경 로앤비즈의 'Law Street' 칼럼은 기업과 개인에게 실용적인 법률 지식을 제공합니다. 전문 변호사들이 조세, 상속, 노동, 공정거래, M&A,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 이슈를 다루며, 주요 판결 분석도 제공합니다.최근 몇 년간 한국 코스메틱 업계는 국내·외에서 적극적인 인수합병(M&A) 전략을 펼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가 한층 강화되었다. 올해 8월까지 K-뷰티 관련 M&A는 총 12건에 달하는데, 이는 2018년도 13건 이후 최다 수치에 해당한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비롯한 국내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BTS를 비롯하여 세븐틴, 스트레이 키즈 등 남자 아이돌과 뉴진스를 비롯하여 로제, 제니 등 여자 아이돌이 전 세계적으로 큰 인지도를 얻고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그들의 피부 관리 노하우와 화장법 등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덩달아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열기도 식을 줄 모르는 분위기다.한국 코스메틱 업계에서는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의 신규 업체의 등장 및 브랜드 론칭 지속에 따른 성장세 둔화에 직면하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진출을 도모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특히 K-뷰티의 인기가 지속되면서 해외 시장 진출과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M&A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독창성과 경쟁력을 갖춘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올해 한국 코스메틱 업계의 주요 M&A 사례올해 초 화장품 전문 유통사 지피클럽은 색조 화장품 ODM 업체인 ‘코디(KODI)’를 인수했다. 자사
한국 사회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이에 따라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지난 24일 행정안전부는 전날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12만1286명)의 20.0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한국은 유엔의 고령사회 정의인 '노인=65세' 기준을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1981년 노인복지법을 제정할 때 각종 노인복지서비스를 개시하는 연령으로 결정한 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급격한 고령화로 국내에서는 10여년 전부터 '65세' 기준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016년 정부는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에 기준 연령 상향 방안을 담았다. 2019년 박능후 당시 복지부 장관 역시 기준 연령을 70세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노인 기준 연령 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고령화로 각종 복지 예산이 증가하고,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이 흔들리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태석 선임연구위원은 "노인 연령 조정 속도가 기대여명 증가 속도에 미치지 못해 연금 및 노인복지 수급 기간이 빠르게 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선진국들은 기대수명 증가를 반영한 연금수급개시연령 자동조정장치 등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왔지만 재정의 지속 가능성 문제는 공적연금에만 국한되지 않으므로 노인복지제도 전반의 노인 연령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인 연령 상향은 정년 연장, 연금 개혁 등 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