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代지급 확대...혼란 최소화 .. '농성해산후 대책.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주택은행 두 노조의 파업농성이 공권력 투입으로 1주일만에 일단 해산됐지만 업무 정상화를 기대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다.
농성해산이 업무복귀를 직접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조는 업무에 복귀하지 않고 "잠수투쟁" "분산투쟁"라는 제2라운드 작전을 벌일 방침이다.
이에비해 정부가 27일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내놓은 대책은 "노조원의 자발적 복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와 노조의 상황인식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국민 불편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정부의 비상대책 =정부의 비상대책은 한마디로 ''두 은행장이 열심히 노조원을 설득해 업무에 복귀시키라''이다.
강권석 금감위 대변인은 "1만2천명의 직원이 파업하고 있는데 별다른 대책이 있을 수 있겠느냐"며 "이들이 복귀하는 것이 최상의 대책"이라고 속내를 털어놨다.
정부는 28일 영업시간 전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관련법에 따라 엄중처벌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장기적으로 영업이 어려울 경우 법규에 따라 영업정지 등도 추진하겠다는 엄포를 놓았다.
반면 복귀하는 직원에게는 신분상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는 당근책도 발표했다.
정부는 농성에서 해산한 만큼 단결력이 떨어져 파업대열에서 이탈하는 직원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거점점포를 하나씩 늘리고 지점업무도 단계적으로 가동하면 은행이 2~3일내 정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는 직원들의 복귀는 시간이 필요한 만큼 다른 은행을 통한 예금대지급, 직원파견 등으로 금융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두 은행장이 직원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보였다.
◆ 노조원은 강경 =노조는 해산이후 분회별로 ''분산투쟁''을 벌이며 장기전에 돌입했다.
특히 전산 핵심요원 6백여명은 한국노총의 여주연수원으로 집결했다.
거점점포 운영이든, 타 은행의 예금대지급이든 이들이 없이는 시행되기 어렵다.
노조측의 강경한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들은 28일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걸고 있지 않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 관계자는 "다른 은행 노조가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원들의 신분상 불이익, 합병불가피론이 대세를 장악하고 있는 점, 파업에 따른 고객불만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때문에 노조와 정부 은행측간 타협점을 찾으려는 시도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금융계에서는 28일 총파업을 고비로 직원들의 업무복귀가 서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26일 오후 5시 현재 국민은행은 40.8%, 주택은행은 34.1%의 직원이 출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점포는 국민이 1백5개, 주택이 1백63개 개점했다.
그동안 밀린 결제업무 등을 처리하고 영업을 정상화하는 데는 물리적으로 1주일가량 시일이 필요해 두 은행 고객의 피해는 물론 금융시장의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
농성해산이 업무복귀를 직접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조는 업무에 복귀하지 않고 "잠수투쟁" "분산투쟁"라는 제2라운드 작전을 벌일 방침이다.
이에비해 정부가 27일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내놓은 대책은 "노조원의 자발적 복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와 노조의 상황인식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국민 불편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정부의 비상대책 =정부의 비상대책은 한마디로 ''두 은행장이 열심히 노조원을 설득해 업무에 복귀시키라''이다.
강권석 금감위 대변인은 "1만2천명의 직원이 파업하고 있는데 별다른 대책이 있을 수 있겠느냐"며 "이들이 복귀하는 것이 최상의 대책"이라고 속내를 털어놨다.
정부는 28일 영업시간 전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관련법에 따라 엄중처벌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장기적으로 영업이 어려울 경우 법규에 따라 영업정지 등도 추진하겠다는 엄포를 놓았다.
반면 복귀하는 직원에게는 신분상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는 당근책도 발표했다.
정부는 농성에서 해산한 만큼 단결력이 떨어져 파업대열에서 이탈하는 직원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거점점포를 하나씩 늘리고 지점업무도 단계적으로 가동하면 은행이 2~3일내 정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는 직원들의 복귀는 시간이 필요한 만큼 다른 은행을 통한 예금대지급, 직원파견 등으로 금융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두 은행장이 직원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보였다.
◆ 노조원은 강경 =노조는 해산이후 분회별로 ''분산투쟁''을 벌이며 장기전에 돌입했다.
특히 전산 핵심요원 6백여명은 한국노총의 여주연수원으로 집결했다.
거점점포 운영이든, 타 은행의 예금대지급이든 이들이 없이는 시행되기 어렵다.
노조측의 강경한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들은 28일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걸고 있지 않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 관계자는 "다른 은행 노조가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원들의 신분상 불이익, 합병불가피론이 대세를 장악하고 있는 점, 파업에 따른 고객불만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때문에 노조와 정부 은행측간 타협점을 찾으려는 시도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금융계에서는 28일 총파업을 고비로 직원들의 업무복귀가 서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26일 오후 5시 현재 국민은행은 40.8%, 주택은행은 34.1%의 직원이 출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점포는 국민이 1백5개, 주택이 1백63개 개점했다.
그동안 밀린 결제업무 등을 처리하고 영업을 정상화하는 데는 물리적으로 1주일가량 시일이 필요해 두 은행 고객의 피해는 물론 금융시장의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