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남성복 시장의 특징은 캐주얼화 고급화 경량화로 요약된다.

옷을 통해 좀더 편안한 만족감을 충족시키려는 남성들의 욕구와 노력이 이끌어 낸 결과다.

정장은 더욱 부드러워졌고 캐주얼웨어의 영역은 좀 더 확대됐다.

벤처 열풍으로 인해 비즈니스 남성복이라는 새로운 쟝르가 출현하기도 했다.

세계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영국 스타일이 패션트렌드로 받아들여졌다.

또 감도높은 20대 고객을 겨냥한 캐릭터 남성정장이 그 어느해보다 환영을 받았다.

2000년 남성패션을 되돌아 본다.


1.비즈니스 남성복 등장

벤처 열풍은 패션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유연한 사고와 신선한 아이디어,빠른 의사소통 등을 필요로 하는 벤처회사에서는 수트와 넥타이는 어울리지 않았다.

상대방에게 불쾌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활동하기 자유로운 비즈니스 남성복이면 충분했다.

테헤란로 벤처밸리 일대를 중심으로 한 많은 직장이 넥타이를 풀고 흰 드레스셔츠를 벗은 캐주얼복장을 허용했다.

가장 보편적인 비즈니스 캐주얼 차림은 면바지+남방+재킷.

이와 관련,웹피족(웹+여피족)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또 빌 게이츠가 입는 옷 스타일을 그대로 딴 빌 게이츠룩도 패션잡지에 오르내렸다.


2.신사복의 소프트&캐주얼화

세계적인 패션 경향과 맞물려 국내 남성복의 흐름도 "편안하고 부드럽게"바뀌었다.

패드가 들어가 있던 어깨선이 둥글게 바뀌고 빳빳한 몸판 심지도 없앴다.

허리선도 이전보다 넉넉해졌다.

바지는 너무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크기에 길이가 발등까지 덮은 스타일이 인기를 끌었다.

무게도 훨씬 가벼워졌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신사복을 언컨수트 또는 소프트수트라고 불렀다.


3.영국스타일 급부상

남성복에 스코티쉬 바람이 불었다.

얼마전까지 남성복 트렌드를 주도했던 미국식 실용주의 캐주얼과 세련된 이탈리아식 정장이 올 가을에는 점잖은 영국풍에 그 자리를 넘겨줬다.

옷 문양에 타탄과 체크,아가일무늬(다이아몬드 형태의 문양)가 많이 쓰이고 캐시미어 등이 주소재로 부상한 것이 그 증거다.

색상 또한 버건디 다크그린 딥블루 등 한톤을 낮춰 품격을 살린 컬러들이 트렌드로 떠올랐다.

올 하반기 런칭된 브랜드중 다수가 영국풍 또는 스코티쉬를 표방했다.

동일레나운의 아큐아스큐텀 골프,LG패션에서 내놓은 헤지스,원풍물산의 킨록앤더슨 등이 대표적인 예다.


4.캐릭터 남성복 매출호조

남성복보다 디자이너적 색채를 좀 더 가미한 캐릭터 정장이 20대 남성들에게 사랑받았다.

특히 하반기 들어 경기가 침체되면서 기성 정장 매출 신장세가 둔화된 것에 비해 지이크 레노마 등 캐릭터 정장브랜드들은 매월 30% 이상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한섬의 타임옴므,IK엔터프라이즈의 DKNY 등 올해 가세한 신규브랜드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5.고가 수입브랜드 바람

남성복 시장에도 명품바람이 불어닥쳤다.

에르메네질도 제냐,조르지오 아르마니 등 고가수입브랜드를 찾는 발길이 부쩍 늘었다.

테스토니,살바토레 페라가모 등 한켤레에 50만원이 넘는 최고가 구두도 호황을 누렸다.

몇년전만해도 40~50대의 부유층이 이 브랜드들의 주고객이었으나 올해는 20~30대까지 소비자 폭이 넓어졌다.

업계에서는 벤처열풍이 만든 신흥귀족들이 럭셔리 마켓의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했다고 전했다.


6.소재 고급화 경쟁

캐시미어 1백%,수퍼 120수 울 등 최고급 소재 경쟁이 뜨거웠다.

특히 캐시미어는 수트뿐 만 아니라 코트 목도리 스웨터 등 전 아이템에 고루 쓰였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최고급 소재를 사용한 양복은 한벌에 1백~2백만원대.

빨질렐리 닥스 등 국산제품에도 고가 상품군이 따로 생기기도 했다.

설현정 기자 s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