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까지는 각종 체감지표가 악화됐어도 생산과 투자지표는 계속 두자리수 성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11월에 생산과 투자지표가 급격히 악화됐다.

전문가들은 체감경기가 실물지표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산위축과 재고증가가 전형적인 경기침체기의 양상이라고 입을 모았지만 정책대응방향에는 차이를 보였다.

<>지표경기 급랭=그동안 산업생산이 두자리수 성장을 유지해온 것은 내수위축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소비를 나타내는 도소매판매성장률은 지난 6월부터 계속 둔화돼 왔다.

이같은 내수침체를 반도체와 컴퓨터 등 정보기술(IT)분야의 수출이 뒷받침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반도체가격 하락으로 반도체의 생산이 부진한 가운데 11월에는 컴퓨터와 자동차 생산도 악화됐다.

컴퓨터 등 사무회계용기계가 전달 51.4%에서 6.2%로 떨어졌고 자동차는 13.9%에서 -6.2%로 악화됐다.

이에 따라 생산이 6.4%로 21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업들의 설비투자도 급락했다.

작년 연간 설비투자는 43.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올 상반기 평균은 44.8%였고 10월만 해도 20.5%를 기록했다.

이러다가 갑자기 마이너스 1.3%로 떨어진 것이다.

컴퓨터와 통신기기 등에 대한 투자가 갑자기 위축됐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 부연구위원은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부문에 영향을 미쳐 기업들이 투자를 전면 유보하거나 아예 그만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경제상황이 내년 1.4분기까지 악화되리라는 것에는 전문가 대부분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제안이 엇갈린다.

김성식 부연구위원은 "생산과 설비투자가 이같은 속도로 악화된다면 경기가 아예 자생력을 잃게 될 수도 있다"며 "부분적 경기부양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부가가치세와 법인세를 인하해 소비.투자심리를 일으키고 정부지출을 예정보다 늘리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기업구매자금도 더 많이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강대 김수용 교수(경제학)도 "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주택건설이라든지 도로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정부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개발연구원 조동철 연구위원은 "10년전 일본은 불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정적자를 늘렸고 미국은 재정적자를 줄이면서 금리를 낮췄다"며 "미국은 현재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일본은 정부부채만 늘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수를 무리해서 확대하지만 않는다면 인위적 경기부양과 비슷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경제연구소 홍순영 연구위원도 "빠른 시일안에 공적자금을 투입해 금융권 구조조정을 시급히 추진하는 정공법이 경기를 살리는 길 아니겠느냐"는 의견을을 피력했다.

윤기동 기자 yoonk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