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한반도에서는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이후 형성된 화해·협력의 흐름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우선 1,2월에는 남북 각각 1백명씩 시범적인 이산가족 생사·주소확인이 두차례 실시되고 2월말에는 3차 이산가족 교환방문이 이뤄진다.

3월에는 3백명 가량씩의 이산가족 시범 서신교환과 5차 장관급회담,북측 한라산 관광단의 남한 방문이 예정돼있다.

또 북측 경제시찰단 파견과 3차 적십자회담 및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어업협력을 위한 실무접촉,교수·학생·문화계 인사 교류,태권도 교류 등도 성사 가능성이 높은 현안들이다.

특히 상반기중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남한을 방문할 경우 남북관계는 평화체제로 진입하는 전환점을 맞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한에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 군당국간 핫라인 설치,군사위원회 가동 등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에 대한 실천적 조치들이 마련돼 남북관계는 한차원 높은 단계로 발전할 것이기 때문이다.

경협도 활기를 띨 전망이다.

경협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보다 체계적인 경협논의가 이뤄지고 남북이 합의한 투자보장 등 경협의 제도적 장치들도 하반기부터 발효된다.

경의선 도로 및 철도 연결도 경협 활성화를 촉진할 요소다.

다만 북측이 강력히 요구한 전력지원 문제는 쉽게 결론이 날 것 같지는 않다.

이산가족 문제는 이벤트성이 강했던 지난해와 달리 내실을 다지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다.

박재규 통일부 장관은 "상봉보다는 우선 생사 및 주소확인후 서신교환을 많이 하는 것이 이산가족들에게 현실적인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은 부시 행정부가 대북포용정책은 유지하되 보다 엄격한 상호주의를 적용할 것으로 보여 북·미 관계의 급진전에 당분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