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업계가 새해 가장 바라는 사항은 코스닥 시장의 활성화다.

벤처의 자금줄인 코스닥 시장이 제 기능을 되찾아야 예전의 활력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에 대한 벤처업계의 건의사항도 대부분 여기에 모아지고 있다.

벤처캐피털 업계는 이를 위해 코스닥 시장의 운영방법을 개선해야 하며 연 기금가 벤처투자에 나설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1년 벤처산업의 재도약에 견인차역할을 맡아야 할 벤처케피털업계의 새해 바램을 모아보았다.

---------------------------------------------------------------

지난해의 폭락세가 이어진다면 가뜩이나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대다수 벤처기업들이 도산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창구인 코스닥 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벤처업계는 그러나 위기의 본질이 "신뢰상실"인 만큼 코스닥 시장의 공정성과 건전성을 높이는데 정부의 역량이 집중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코스닥 기업의 진출입을 철저히 시장원리에 맡겨야 한다고 업계에선 주장하고 있다.

인위적인 지원책보다는 시장원리를 지켜 명실공히 코스닥 시장이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받는 자본시장으로 거듭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

이런 의미에서 코스닥시장은 벤처기업의 육성과 직결된 만큼 코스닥시장 등록자체가 까다로워서는 안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벤처기업이 성장하려면 단계별로 엔젤투자자,벤처캐피털,코스닥시장등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까다로운 코스닥 등록요건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업계는 기업의 자본조달 창구라는 본래의 취지에 맞게 등록은 쉽게 하되,등록유지 조건은 미국의 나스닥시장처럼 일정한 기준을 정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래야만 내부자거래,시세조작 등 각종 불공정거래를 막을 수 있다고 업계는 강조했다.

시장의 운영체계도 하루바삐 개선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핵심은 바로 코스닥 시장의 최고 의결기구인 "코스닥 위원회".

코스닥 위원회가 지금처럼 법적 근거없이 증권사들의 이익집단인 증권업협회 정관에 의해 활동을 제약받을 경우 증권업계의 이해와 상충되는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벤처기업협회 유성호 실장은 "코스닥 위원회를 법정 단체화하고 예산권도 부여해 위원들에게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제시해야 코스닥 시장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