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3일 나흘간의 장고끝에 여야영수회담에 참석키로 결정했다.

한때 영수회담 연기를 검토했던 이 총재는 이날 "민생을 구하고 쓰러진 경제를 살려내 국민을 안정시키는 것이 급선무라 판단했다"며 참석 배경을 설명했다.

이로써 민주당 의원의 자민련 이적으로 불거진 여야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이 일단 마련된 것이다.

◆ 영수회담 참석 결정 배경 =이회창 총재는 이날 영수회담 참여 결정을 앞두고 국회의원 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 및 당3역회의를 잇따라 열어 의견을 수렴하는 등 시종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당내에선 불참론이 대세였으나 경제위기 극복에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이 총재의 소신을 꺾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권철현 대변인은 "민생이 어렵고 경제가 위기에 처하는 등 영수회담을 거절하기에는 국민의 고통이 너무 심각해 응하기로 했다"고 영수회담 참석 이유를 밝혔다.

권 대변인은 "여권이 인위적 정계개편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면서 영수회담의 불필요성이 당내에서 강하게 제기됐다"고 전하면서 "그러나 이 총재가 이번 기회에 정부 여당의 불합리한 정책들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심각성을 알려줘야 한다고 주장해 결국 성사됐다"고 설명했다.

◆ 무슨 얘기 나눌까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는 경제살리기 및 국정쇄신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올해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한 해라는게 김대중 대통령의 인식"이라면서 "영수회담에서 김 대통령은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경제재도약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정치안정과 국민대화합, 여야간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는 점을 강조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대해 이 총재는 국민들이 얼마나 어려움에 빠져 있는지 조목조목 따진후 경제정책의 투명성 제고및 경제팀 개편 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 대통령은 국정쇄신에 대한 이 총재의 의견을 적극 수렴한후 초당적 협력을 위해 향후 단행할 개각에서 야당이 추천한 인사를 기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는 뜻을 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3인의 자민련 입당문제와 정계개편 가능성도 주요 논쟁점이 될 것이 분명하다.

이 총재는 "이적사태가 최근 불거져 나온 개헌론과 함께 인위적 정계개편의 서곡이 아니냐"며 이에대한 대통령의 분명한 답변을 요구할 것이며, 김 대통령도 "자민련의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다수가 소수를 포용할 때 상생의 정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개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개혁입법 처리, 공적자금 투입문제, 여야간 상생의 정치 실현 등도 심도있게 논의될 전망이다.

김영근.김형배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