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해외여행객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가운데 렌터카 이용률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고, 대중교통으로 방문하기 어려운 지역도 쉽게 이동할 수 있어 렌터카로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로 떠난 우리 국민은 2869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100% 수준을 회복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렌터카 이용률은 8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예약 플랫폼 클룩이 발표한 '2024 해외여행 렌터카 트렌드'에 따르면 한국인이 해외여행에서 렌터카를 가장 많이 예약한 나라는 일본이다. 이어 미국, 대만, 태국, 이탈리아 순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의 렌터카 예약도 많았다.특히 일본은 한국인 여행객이 많이 찾는 여행지로 렌터카 예약률은 전년 대비 127% 늘었다. 최근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 기존 주요 도시 대신 마쓰야마, 오카야마, 다카마쓰 등 일본 소도시를 찾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덩달아 렌터카 예약률도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인 관광객은 일본 105개 도시에서 렌터카를 픽업해 여행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다양한 도시에서 이뤄지는 렌터카 픽업은 여행객들의 여행 패턴 변화에 따른 것으로 예약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업계 관계자는 "렌터카 이용은 프라이빗한 여행을 즐길 수 있어 가족단위 여행객에게 인기였지만, 최근에는 남들과는 다른 여행을 추구하는 여행객이 많아지면서 소도시 여행을 위한 렌터카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고 귀띔했다.렌터카 여행의 장점은 보다 여유롭게 현지에
롯데웰푸드가 신라명과와 제빵사업부의 증평공장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성장이 멈춘 베이커리 부문을 축소하고, 사업 효율화에 나서기 위한 자산 처분이다. 처분가는 비공개지만, 증평공장의 장부상 자산가치는 108억원인 것으로 확인됐다.롯데웰푸드가 빵공장을 매각하게 된 건 베이커리 시장의 변화 때문이다. 과거에서는 소비자들이 마트에서 빵을 사먹었지만, 이젠 파리바게트·뚜레쥬르 같은 베이커리 브랜드를 이용하거나 베이커리 전문 빵집을 이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또 롯데가 갖고 있던 ‘브랑제리’ 브랜드가 시장에서 고전한 영향도 컸다. 수요가 줄다보니 매출은 역성장했다. 롯데웰푸드의 제과사업부 매출액은 2023년 1220억원이었다. 2024년엔 이보다 더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롯데웰푸드는 그동안 빵공장 효율화를 추진해왔다. 수원·부산·증평 등 총 3개 공장을 갖고 있는데, 중복 생산 제품을 줄이는 등의 노력을 했다. 증평공장은 롯데브랑제리의 생산기지였다. 지난 6월부터 문을 닫은 상태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상반기 사업보고서에 ‘매각 예정 자산’으로 증평공장을 기재했
“돈을 저축하고, 빚에서 벗어나고, 주식시장에 장기 투자해야 한다.”이 문장에 고개를 끄덕였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부자가 될 자격’이 없다. 적어도 재테크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의 관점에서는 말이다. 미국의 유명 사업가인 기요사키는 신간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에서 “무작정 돈을 저축하거나, 주식시장에 장기 투자하거나, 정부 연금에 의존하는 일은 재정적인 자살 행위가 될 것”이라고 역설한다. 현금의 가치는 날로 떨어질 것이기 때문에 저축 대신 부채를 활용해 부동산 시장에 투자하라는 게 기요사키의 핵심 주장이다.하와이에서 해병대 조종사로 일하던 기요사키는 1973년 한 부동산 세미나를 듣고 투자에 눈을 떴다. 석 달간 100개의 부동산을 임장(현장 방문)하며 매매 가능한 부동산 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하와이에 있는 침실 1개, 욕실 1개짜리 콘도를 구입했다. 콘도 가격의 10%인 계약금을 신용카드로, 다시 말해 현금은 한 푼도 쓰지 않고 계약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을 때도 그는 부동산을 팔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