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조합 조합인가.사업승인 급증 .. 작년 236곳 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의 용적률규제 강화에 대비해 조합설립인가 및 사업승인을 얻으려는 재건축조합이 급증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고밀도 개발을 부추기고 전세값 상승과 자재난 등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우려된다.
18일 건설교통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서울시에서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재건축조합은 2백36곳으로 전년(35곳)에 비해 무려 7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승인을 얻은 조합과 가구수도 1백96곳 3만1천3백54가구로 각각 2배이상 증가했다.
이에따라 지난해말 현재 조합설립인가만 받고 재건축 사업에 아직 착수하지 못한 조합과 가구수는 3백29곳 8만9천가구에 달한다.
이처럼 재건축조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서울시가 지난해 3종 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 상한선을 3백%에서 2백50%로 낮추기로 했지만 이의 시행시기를 2003년 7월1일로 늦췄기 때문이다.
용적률이 낮아지면서 사업채산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노후아파트 거주자들이 종전 용적률을 적용받기 위해 조합을 잇따라 설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재건축 사업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추진되면 난개발은 물론 전세가격을 부채질하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재건축이 한꺼번에 이뤄질 경우 일시적인 전세수요를 유발해 아파트 가격질서를 왜곡시킬 소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한국부동산컨설팅 정광영 사장은 "이같은 추세대로라면 서울시내는 용적률이 강화되기전에 고밀도 아파트 숲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며 "도심 난개발을 막고 무더기 재건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
이같은 움직임은 고밀도 개발을 부추기고 전세값 상승과 자재난 등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우려된다.
18일 건설교통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서울시에서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재건축조합은 2백36곳으로 전년(35곳)에 비해 무려 7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승인을 얻은 조합과 가구수도 1백96곳 3만1천3백54가구로 각각 2배이상 증가했다.
이에따라 지난해말 현재 조합설립인가만 받고 재건축 사업에 아직 착수하지 못한 조합과 가구수는 3백29곳 8만9천가구에 달한다.
이처럼 재건축조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서울시가 지난해 3종 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 상한선을 3백%에서 2백50%로 낮추기로 했지만 이의 시행시기를 2003년 7월1일로 늦췄기 때문이다.
용적률이 낮아지면서 사업채산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노후아파트 거주자들이 종전 용적률을 적용받기 위해 조합을 잇따라 설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재건축 사업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추진되면 난개발은 물론 전세가격을 부채질하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재건축이 한꺼번에 이뤄질 경우 일시적인 전세수요를 유발해 아파트 가격질서를 왜곡시킬 소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한국부동산컨설팅 정광영 사장은 "이같은 추세대로라면 서울시내는 용적률이 강화되기전에 고밀도 아파트 숲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며 "도심 난개발을 막고 무더기 재건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