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氣 수련을 경계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氣) 수련문화를 경계하라''
천주교가 최근 사제와 신도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는 기공 단전호흡 등에 대해 경계령을 내렸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강우일 보좌주교는 최근 교구내 사제와 수도회에 ''기수련 문화에 대한 주의 환기''라는 공문을 보내 "신앙생활에 혼돈을 초래할 수 있음을 감안해 분별력있게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서울대교구의 이같은 지침은 기 수련이 종교적 차원으로 승화돼 기독교 신앙과 공존할 수 없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강 주교는 공문에서 "기 수련 문화는 처음에는 묵상이나 건강의 보조수단으로 다가오지만 차츰 정신세계와의 교류가 전제되고 자연스럽게 종교적 차원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기 수련을 통해 닿게 되는 종교적 차원은 초월적이며 개인주의적인 세계관,신비주의적 우주관으로 연결돼 사회 전체의 공동선을 찾으려는 기성종교와 어긋난다는 것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천주교가 최근 사제와 신도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는 기공 단전호흡 등에 대해 경계령을 내렸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강우일 보좌주교는 최근 교구내 사제와 수도회에 ''기수련 문화에 대한 주의 환기''라는 공문을 보내 "신앙생활에 혼돈을 초래할 수 있음을 감안해 분별력있게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서울대교구의 이같은 지침은 기 수련이 종교적 차원으로 승화돼 기독교 신앙과 공존할 수 없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강 주교는 공문에서 "기 수련 문화는 처음에는 묵상이나 건강의 보조수단으로 다가오지만 차츰 정신세계와의 교류가 전제되고 자연스럽게 종교적 차원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기 수련을 통해 닿게 되는 종교적 차원은 초월적이며 개인주의적인 세계관,신비주의적 우주관으로 연결돼 사회 전체의 공동선을 찾으려는 기성종교와 어긋난다는 것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