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관광객이 출국할 때 국내에서 쇼핑한 물건에 부과된 부가가치세를 돌려주는 부가세 환급사업자 선정을 놓고 국내외 기업 사이에 날카로운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25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 1차 입찰에서 탈락한 스웨덴의 글로벌리펀드가 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업체와 함께 2차 입찰에 참가할 움직임을 보이자 먼저 사업권을 따낸 코리아리펀드가 이들 2개 기업을 담합 혐의로 검찰에 고발,파장이 일고 있다.

부과세 환급사업은 연간 수수료만 최고 6백억원에 이를 정도로 큰 이권이 걸려있는 사업이어서 사업권을 놓고 논란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자 선정 논란=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12일 1차 입찰을 실시해 2개 부스 가운데 1개 부스의 사업자를 코리아리펀드로 선정했다.

그러나 공사측이 추가로 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해 오는 27일 2차 입찰을 실시키로 하면서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현재 김포공항에서 부가세 환급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글로벌리펀드가 지난 18일 소프트웨어 업체인 미디어인니시에이티브와 함께 환급사업자 추가 선정을 위한 사업설명회에 참석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코리아리펀드는 "글로벌리펀드 외에는 2차 입찰에 참여할 업체가 없어 경쟁입찰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컸다"며 "글로벌리펀드측이 입찰 무산을 막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미디어인니시에이티브를 들러리로 끌어들였다"고 주장했다.

◆각사 입장=공사측은 환급사업자를 복수로 운영할 경우 수수료가 인하되고 서비스도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코리아리펀드는 "환급사업자를 복수로 선정할 경우 관광객에게 두곳의 부스를 거치게 만들어 불편을 준다"고 주장했다.

글로벌리펀드는 기존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2차 입찰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