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수명 7개월''

''국민의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들이 줄줄이 ''단명(短命)''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잦은 장관 교체가 정책의 일관성을 흐트러뜨리고 업무공백을 초래한다는 지적들이 많다.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려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어렵게 한다는 하소연도 들려온다.

현 정부 들어 기용된 교육장관 수는 이해찬 김덕중 문용린 송자 이돈희 장관에 이어 한완상 부총리까지 모두 6명.

작년 한햇동안에만 4명의 장관이 바뀌었다.

정권 출범후 3년이 채 안돼 김영삼 정부때의 5명,노태우 정부 때의 4명,전두환 정부 때의 4명보다 잦은 장관교체가 이뤄졌다.

지난 98년3월3일 ''DJ정권''의 초대 교육장관으로 부임한 이해찬씨는 교원정년 단축 등 굵직한 개혁작업에 손을 댔지만 교사들의 거센 반발로 1년2개월만인 99년5월23일 물러났다.

뒤를 이은 김덕중 장관은 개혁 추진력 부족과 업무·조직 장악력 부족 등을 이유로 7개월여만인 지난해 1월13일 교체됐다.

후임인 문용린 장관의 경우 ''수도권 대학정원 자율화'' ''저소득층 과외비 지원''등 준비 안된 발언으로 ''설화''(舌禍)를 겪은데 이어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일 전야제인 지난해 5월17일 광주에서 벌인 술판 사건까지 겹쳐 8월6일 경질됐다.

송자 장관은 부인과 딸의 이중국적 시비,삼성전자 사외이사 재직 당시 주식편법 취득,저서 표절시비 등에 휘말려 23일만인 8월30일 사퇴했다.

''비교적 무난히 교육부를 이끌어 왔다''는 평가를 받아온 이돈희 장관도 결국 만 5개월을 채우지 못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장관이 자주 바뀌면 업무보고 준비 등으로 업무공백이 많이 생길 수밖에 없다"면서 "특히 부처 승격과 동시에 인적자원 개발 업무를 추진해야 할 상황에 전격적으로 새 인물이 기용돼 관련 업무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