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게임기 공룡들의 '한판승부' .. 소니 'PS2'-MS 'X박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세대 게임기 시장을 장악하라"
연간 24조원 규모의 세계 게임기 시장을 둘러싼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게임대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빌 게이츠 MS 회장이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 전시회(CES)"에서 올 연말 시판할 게임기 X박스의 시제품을 공개한 것.
차세대 게임기는 양사에 게임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터넷 접속기능은 물론 DVD(디지털 다기능기술) 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 PC를 대체할 유망한 정보가전기기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니는 지난해 세계적으로 2백만대 이상 팔린 자사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2(PS2) 마케팅에 5억달러를 퍼부었으며 MS도 같은 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책정하고 있다.
게임기 시장의 맹주 소니와 이에 도전하는 소프트웨어의 절대강자 MS.
올 하반기에는 이들의 사활을 건 한판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 게임기 성능은 X박스가 한수 위 =X박스는 지금까지 나온 비디오게임기중 기술적으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펜티엄III 7백33MHz CPU를 갖춰 성능이 웬만한 가정용 PC를 능가하며 메모리도 64MB로 32MB인 PS2를 앞선다.
그래픽 프로세서(2백50MHz) 역시 PS2보다 2배 가까운 속도를 자랑한다.
X박스는 특히 지금까지 어떤 게임기도 시도하지 않은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다.
이 하드디스크는 게임이나 캐릭터 등을 다운로드받는데 사용된다.
<> 승패의 관건은 우수한 게임 확보 =전문가들은 게임기 성능보다는 얼마나 재미있는 게임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PS2도 제품성능면에서는 일정수준 이상이어서 게임기 자체만으로는 우열을 가리기는 힘들다.
소니가 90년대 초까지 세계 게임기 시장을 주무르던 닌텐도 왕국을 무너뜨릴 수 있었던 것도 최고의 게임 개발업체인 "스퀘어"를 자기 진영으로 끌어들인 덕분이었다.
게임확보 측면에서는 2년 먼저 게임기를 출시한 소니가 MS보다 유리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PS2의 경우 코나미, 남코 등 세계적인 일본 게임제조업체들이 제작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파이널판타지 등 대작 게임들도 1백여개나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자금이 풍부한 MS가 게임업체를 인수하거나 제휴를 추진하는 등 게임콘텐츠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어 아직 승부를 판가름하기는 이르다는게 게임업계 관계자들 얘기다.
<> 국내 게임업체 움직임 =각 게임업체들은 면밀한 분석을 통해 어느 진영과 주로 협력해야 할지 이미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차세대 게임기는 전세계에 보급될 전망이어서 자사 게임 하나가 인기를 끌면 엄청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넥슨 등은 PS2의 서드파티(게임제작사)로 선정돼 PS2용 게임을 개발중이며 카마디지털엔터테인먼트, 디지털드림스튜디오는 X박스용 게임을 제작하고 있다.
이남훈 카마디지털엔터테인먼트 PC게임 비즈니스팀장은 "X박스는 인텔CPU,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등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으로 구성돼 있다"며 "그동안 PC 기반에서 게임을 개발한 업체에는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적다"고 말했다.
PS2는 소니의 독자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이에 맞게 새로 게임을 개발해야 된다는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넥슨 관계자는 "X박스가 성능이 우수하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잘 팔릴지는 계속 지켜봐야할 문제"라며 "넥슨은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려 성능이 입증된 PS2에 전력투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
연간 24조원 규모의 세계 게임기 시장을 둘러싼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게임대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빌 게이츠 MS 회장이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 전시회(CES)"에서 올 연말 시판할 게임기 X박스의 시제품을 공개한 것.
차세대 게임기는 양사에 게임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터넷 접속기능은 물론 DVD(디지털 다기능기술) 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 PC를 대체할 유망한 정보가전기기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니는 지난해 세계적으로 2백만대 이상 팔린 자사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2(PS2) 마케팅에 5억달러를 퍼부었으며 MS도 같은 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책정하고 있다.
게임기 시장의 맹주 소니와 이에 도전하는 소프트웨어의 절대강자 MS.
올 하반기에는 이들의 사활을 건 한판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 게임기 성능은 X박스가 한수 위 =X박스는 지금까지 나온 비디오게임기중 기술적으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펜티엄III 7백33MHz CPU를 갖춰 성능이 웬만한 가정용 PC를 능가하며 메모리도 64MB로 32MB인 PS2를 앞선다.
그래픽 프로세서(2백50MHz) 역시 PS2보다 2배 가까운 속도를 자랑한다.
X박스는 특히 지금까지 어떤 게임기도 시도하지 않은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다.
이 하드디스크는 게임이나 캐릭터 등을 다운로드받는데 사용된다.
<> 승패의 관건은 우수한 게임 확보 =전문가들은 게임기 성능보다는 얼마나 재미있는 게임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PS2도 제품성능면에서는 일정수준 이상이어서 게임기 자체만으로는 우열을 가리기는 힘들다.
소니가 90년대 초까지 세계 게임기 시장을 주무르던 닌텐도 왕국을 무너뜨릴 수 있었던 것도 최고의 게임 개발업체인 "스퀘어"를 자기 진영으로 끌어들인 덕분이었다.
게임확보 측면에서는 2년 먼저 게임기를 출시한 소니가 MS보다 유리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PS2의 경우 코나미, 남코 등 세계적인 일본 게임제조업체들이 제작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파이널판타지 등 대작 게임들도 1백여개나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자금이 풍부한 MS가 게임업체를 인수하거나 제휴를 추진하는 등 게임콘텐츠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어 아직 승부를 판가름하기는 이르다는게 게임업계 관계자들 얘기다.
<> 국내 게임업체 움직임 =각 게임업체들은 면밀한 분석을 통해 어느 진영과 주로 협력해야 할지 이미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차세대 게임기는 전세계에 보급될 전망이어서 자사 게임 하나가 인기를 끌면 엄청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넥슨 등은 PS2의 서드파티(게임제작사)로 선정돼 PS2용 게임을 개발중이며 카마디지털엔터테인먼트, 디지털드림스튜디오는 X박스용 게임을 제작하고 있다.
이남훈 카마디지털엔터테인먼트 PC게임 비즈니스팀장은 "X박스는 인텔CPU,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등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으로 구성돼 있다"며 "그동안 PC 기반에서 게임을 개발한 업체에는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적다"고 말했다.
PS2는 소니의 독자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이에 맞게 새로 게임을 개발해야 된다는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넥슨 관계자는 "X박스가 성능이 우수하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잘 팔릴지는 계속 지켜봐야할 문제"라며 "넥슨은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려 성능이 입증된 PS2에 전력투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