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은 31일 3차 적십자회담을 열어 생사.주소확인및 서신교환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또 경의선 연결지점에 면회소를 설치하는데 공감대를 이뤘으나 임시면회소 설치장소를 놓고 이견을 보여 완전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남북은 일부 합의내용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생사.주소확인및 서신교환사업을 확대키로 하고 이를 4월 3~5일 4차 적십자회담을 열어 확정키로 했다.

또 3월15일 실시하는 3백명규모의 첫 서신교환은 1~2매의 가족사진을 포함한 편지형식으로 결정,소포를 보내지 못하도록 했다.

이밖에 2월 26~28일로 예정된 3차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을 위해 후보자 2백명에 대한 확인결과 회보서를 2월15일,최종 방문자 명단을 2월27일 각각 교환키로 했다.

면회소 장소와 관련,남측은 항구적 면회소를 경의선 연결지점에,임시면회소를 판문점과 금강산에 짓자고 제의했으나 북측은 항구적 면회소를 금강산에 우선 지은뒤 나중에 경의선 연결지점에 설치하자고 맞섰다.

한편 남북은 이날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2월26~28일로 예정된 3차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의 후보자 2백명 명단을 교환했다.

*표 정치면 남측 가족 1천3백90명을 찾는 북측 2백명 가운데 남자는 1백67명,여자는 33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80대이상 5명,70대 89명,60대 1백6명으로 집계됐다.

직업별로는 농.어업이 60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학생(59명) 노동(52명) 교수.교원(7명) 공무원(4명) 무직(11명) 문화예술(2명)등인 것으로 타났다.

또 출신지역별로는 경기가 42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경북(33명) 충남(29명) 충북(25명) 서울(21명) 전북(14명) 전남(12명) 강원(11명) 경남(9명) 제주(4명)순이었다.

정태웅 기자,금강산=공동취재단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