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상생정치'' 복원이 가시화되고 있다.

민주당 김중권 대표가 ''국회 무파행 선언''을 제의한데 대해 한나라당과 자민련이 2일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오는 5일부터 정상화되는 국회가 ''순항''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 무파행 선언'' 제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순에 본격 착수했다.

민주당은 우선 국회 일부에서 여야간 정쟁이 벌어지더라도 전면 파행으로 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예컨대 특정현안으로 본회의나 예결위가 파행될 경우 다른 현안을 다루는 상임위를 정상 가동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양당의 상호비방과 인신공격을 자제할 것을 한나라당에 제의했다.

김영환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양당 대변인단이 상대당에 대한 인신공격과 저질발언을 자제하는 ''비저질선언''을 하자"며 "각종 성명과 논평에서 모국어의 품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챙기며 주식시장을 활성화하는 ''3생의 정치''를 해야 한다"며 "한나라당도 이에 동의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한나라당은 "원칙적으로 환영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국회파행의 책임을 야당에 전가시키는 음모여서는 안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김 대표와 20년 ''정치지기''라고 자청한 정창화 총무는 이날 "(무파행 선언은) 놀랍고도 좋은 일"이라고 치하한뒤 "그러나 김 대표가 자기주장은 도덕적이고 야당주장은 정치공세, 발목잡기로 보는 인식을 버려야 할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정 총무는 이어 "김 대표는 군사정부시절의 정국운영 마인드를 버려야 한다"고 지적한뒤 "야당과 함께 할 때 여당도 강해진다는 사실을 빨리 깨달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이어 국회무파행의 전제조건으로 △야당 주장 수용 △야당파괴 공작중단 선언 △부도덕한 정치공세 중단 등을 제시했다.

김형배.이재창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