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發 금융위기' 증폭] 3월대란설...현실화땐 세계경제 큰 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에서 3월 금융위기설이 부쩍 고개를 들고 있다.
얼마전까지는 2월대란설이 나돌았으나 지금은 2000 회계연도 결산기인 3월에 금융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증시침체와 은행권의 부실채권 급증이 금융대란설의 빌미다.
일본 금융위기가 현실화될 경우 세계 자본시장이 큰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특히 한국 등 아시아 각국에 투자된 재팬머니가 대거 본국으로 회수되면서 아시아 각국에 금융위기 도미노 현상이 벌어질 수도 있다.
◆증시침체=닛케이평균주가는 작년 상반기중 한때 2만엔을 넘어선 적도 있지만 최근까지 1년도 안되는 기간에 약 40%나 곤두박질쳤다.
다이이치간교 등 일본의 16개 대형 시중은행들은 작년 9월의 중간결산에서 보유주식 매각으로 1조1천억엔의 이익을 올렸다.
이는 영업이익 1조5천억엔의 70%가 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은 약 1조4천억엔의 부실채권을 떨어내고도 8천5백억엔의 세전이익을 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닛케이평균주가가 1만3천엔대로 폭락,16개 은행중 8개가 주식평가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욱이 1만3천엔선이 깨지면 이익을 낼 수 있는 은행은 도쿄미쓰비시,스미토모 등 단 4개뿐이다.
16개 은행이 3월말 결산에서 털어내야 할 부실채권은 2조엔 이상이나 돼 주가가 살아나지 않으면 해결방법이 없다.
적자결산을 감수하거나 부실채권 처리를 뒤로 미룰 수밖에 없다.
◆부실채권=금융전문가들이 보는 또 하나의 대형 뇌관은 빈사상태의 기업들에 빌려준 돈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은행들이 총 14조엔을 상각처리한 1998년보다 심각성이 덜한 편이지만 부실채권을 털어낼 밑천이 영업이익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은 땅값 하락과 기업도산사태,까다로워진 금융청의 심사기준을 부실채권 처리의 최대 장애요인으로 보고 있다.
장기불황으로 기업들이 속속 쓰러지면서 신용등급이 내려가는 것도 충당금 압박요인이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유통,건설부문의 한계기업에 물린 채권이야말로 폭발 직전의 시한폭탄이라며 이들이 무너질 때의 후유증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2조4천억엔의 부채를 지고 자금수혈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다이에와 아오키건설 등은 최대 ''폭탄기업''이라는 것이다.
◆엇갈리는 전망=일본 정부는 3월 위기설이 사태를 너무 비관적으로 보는 것이라며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야나기사와 하쿠오 금융재생담당상은 6일 "1998년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금융위기설은 기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미쓰비시 종합연구소의 다카하시 조센 고문은 "주가가 1만3천엔 밑으로 내려가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일본은 금융위기와 함께 버블경제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양승득 특파원 yangsd@hankyung.com
얼마전까지는 2월대란설이 나돌았으나 지금은 2000 회계연도 결산기인 3월에 금융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증시침체와 은행권의 부실채권 급증이 금융대란설의 빌미다.
일본 금융위기가 현실화될 경우 세계 자본시장이 큰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특히 한국 등 아시아 각국에 투자된 재팬머니가 대거 본국으로 회수되면서 아시아 각국에 금융위기 도미노 현상이 벌어질 수도 있다.
◆증시침체=닛케이평균주가는 작년 상반기중 한때 2만엔을 넘어선 적도 있지만 최근까지 1년도 안되는 기간에 약 40%나 곤두박질쳤다.
다이이치간교 등 일본의 16개 대형 시중은행들은 작년 9월의 중간결산에서 보유주식 매각으로 1조1천억엔의 이익을 올렸다.
이는 영업이익 1조5천억엔의 70%가 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은 약 1조4천억엔의 부실채권을 떨어내고도 8천5백억엔의 세전이익을 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닛케이평균주가가 1만3천엔대로 폭락,16개 은행중 8개가 주식평가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욱이 1만3천엔선이 깨지면 이익을 낼 수 있는 은행은 도쿄미쓰비시,스미토모 등 단 4개뿐이다.
16개 은행이 3월말 결산에서 털어내야 할 부실채권은 2조엔 이상이나 돼 주가가 살아나지 않으면 해결방법이 없다.
적자결산을 감수하거나 부실채권 처리를 뒤로 미룰 수밖에 없다.
◆부실채권=금융전문가들이 보는 또 하나의 대형 뇌관은 빈사상태의 기업들에 빌려준 돈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은행들이 총 14조엔을 상각처리한 1998년보다 심각성이 덜한 편이지만 부실채권을 털어낼 밑천이 영업이익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은 땅값 하락과 기업도산사태,까다로워진 금융청의 심사기준을 부실채권 처리의 최대 장애요인으로 보고 있다.
장기불황으로 기업들이 속속 쓰러지면서 신용등급이 내려가는 것도 충당금 압박요인이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유통,건설부문의 한계기업에 물린 채권이야말로 폭발 직전의 시한폭탄이라며 이들이 무너질 때의 후유증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2조4천억엔의 부채를 지고 자금수혈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다이에와 아오키건설 등은 최대 ''폭탄기업''이라는 것이다.
◆엇갈리는 전망=일본 정부는 3월 위기설이 사태를 너무 비관적으로 보는 것이라며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야나기사와 하쿠오 금융재생담당상은 6일 "1998년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금융위기설은 기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미쓰비시 종합연구소의 다카하시 조센 고문은 "주가가 1만3천엔 밑으로 내려가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일본은 금융위기와 함께 버블경제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양승득 특파원 yangs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