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주지역 개발현장 곳곳에서 문화재가 출토돼 공공기관이나 민간 사업시행자들이 사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1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많은 사업시행자들이 공사중에 출토된 매장 문화재 발굴비용 부담으로 장기간 공사를 중단하거나 아예 사업을 포기,지역건설경기 활성화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산의 경우 지난 한햇동안 도로 확포장공사와 공장·아파트단지 조성 등 각종 대형 공사과정에서 매장문화재가 출토된 곳이 모두 1백9개소에 달했다.

이 때문에 50여개 업체가 발굴비용 부담에 따른 공사비 증가로 사업을 중도 포기했다.

울산시가 남구 부곡동 일대 8만여평에 조성중인 외국인전용공단 사업부지에서도 최근 문화재가 나오는 바람에 공사가 중단됐다.

삼성정밀화학은 중구 복산동 일대 5천5백여평에 삼성홈플러스를 건립하기로 했다가 매장문화재 출토로 계획된 공정을 맞추는 데 차질을 빚고 있다.

이같은 폐해는 경주지역이 더욱 심각해 최근 경주경마장의 건설백지화로 인해 사업시행자인 마사회는 지난 94년6월부터 부지매입과 문화재발굴 조사비용 등으로 투자한 3백여억원의 예산만 날리게 됐다.

경주시가 지난 99년 착공한 강변로는 도로 예정지 중간의 유림숲 일대에서 문화재가 나와 공사가 2년여간 중단됐다.

경주교육청은 황성동 경주여중 이전 예정부지가 발굴작업 끝에 사적419호로 지정돼 학교신축을 포기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문화재 분포지역에 대한 철저한 기초조사가 이뤄져야 하며 만약 문화재 발굴로 공사가 중단되면 비용손실을 지자체가 부담해 주는 등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