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런티어] 유향숙 <생명공학연구소 인간유전체사업단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위암,간암 정복이라는 당면 과제를 중심으로 유전자 진단,치료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유향숙 생명공학연구소 인간유전체사업단장은 "게놈프로젝트의 유전자 지도가 99% 완성된 만큼 이제는 각각의 유전자 기능을 밝히는 포스트게놈연구가 진행될 것"이라며 "한국이 게놈연구에서 열세인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인의 특이한 체질과 질병에 초점을 맞춘다면 독자성과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향숙 박사가 이끄는 인간유전체연구사업단은 지난 99년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런티어사업의 하나로 발족하면서 게놈연구를 시작했다.
8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한 미국 영국 등에 비하면 연구수준이 아직 걸음마단계이다.
원천기술 투자도 미흡하고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기술경쟁력은 선진국의 60% 수준이다.
유 단장은 이런 점을 감안해 틈새기술을 개발,산업에 응용적용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업단은 이에 따라 <>위암.간암 유전자 및 단백질의 초고속 발굴기술 개발 <>한국인의 특이 단일 염기변이(SNP)발굴 <>위암.간암 관련 유전체의 기능연구 <>한국인에게 자주 일어나는 질환의 유전체 연구 등 4가지 과제를 수행중이다.
위암.간암 조기진단 가능 사업단은 오는 2003년까지 1단계로 핵심기반 기술 및 한국인 특유의 유전자원을 확보한 뒤 2단계(2004~2006년)에 신규 유전자의 기능을 정밀 분석하고 응용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어 3단계(2007~2010년)에는 약품으로 쓸 수 있는 최종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진단.치료기술을 개발한다는 목표이다.
최근에는 경상대 의대 이광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3개월만에 한국인에서 분리된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을 완성하기도 했다.
유 단장은 인간게놈지도 완성으로 낙관적인 연구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게놈연구에 따른 우려도 표명했다.
그는 "방대한 양이 될 개인 유전정보 보호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유전정보를 통해 개인의 질병,성향,행동양상과 수명까지 예측 가능할 경우 개인유전정보 유출은 심각한 부작용은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
유향숙 생명공학연구소 인간유전체사업단장은 "게놈프로젝트의 유전자 지도가 99% 완성된 만큼 이제는 각각의 유전자 기능을 밝히는 포스트게놈연구가 진행될 것"이라며 "한국이 게놈연구에서 열세인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인의 특이한 체질과 질병에 초점을 맞춘다면 독자성과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향숙 박사가 이끄는 인간유전체연구사업단은 지난 99년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런티어사업의 하나로 발족하면서 게놈연구를 시작했다.
8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한 미국 영국 등에 비하면 연구수준이 아직 걸음마단계이다.
원천기술 투자도 미흡하고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기술경쟁력은 선진국의 60% 수준이다.
유 단장은 이런 점을 감안해 틈새기술을 개발,산업에 응용적용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업단은 이에 따라 <>위암.간암 유전자 및 단백질의 초고속 발굴기술 개발 <>한국인의 특이 단일 염기변이(SNP)발굴 <>위암.간암 관련 유전체의 기능연구 <>한국인에게 자주 일어나는 질환의 유전체 연구 등 4가지 과제를 수행중이다.
위암.간암 조기진단 가능 사업단은 오는 2003년까지 1단계로 핵심기반 기술 및 한국인 특유의 유전자원을 확보한 뒤 2단계(2004~2006년)에 신규 유전자의 기능을 정밀 분석하고 응용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어 3단계(2007~2010년)에는 약품으로 쓸 수 있는 최종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진단.치료기술을 개발한다는 목표이다.
최근에는 경상대 의대 이광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3개월만에 한국인에서 분리된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을 완성하기도 했다.
유 단장은 인간게놈지도 완성으로 낙관적인 연구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게놈연구에 따른 우려도 표명했다.
그는 "방대한 양이 될 개인 유전정보 보호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유전정보를 통해 개인의 질병,성향,행동양상과 수명까지 예측 가능할 경우 개인유전정보 유출은 심각한 부작용은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