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경덕왕 10년(751년)에 창건된 불국사 경내에는 아름답고 독특한 건축미를 갖춘 석조물인 다보탑과 석가탑이 있다.

다보탑은 통일신라 최전성기에 만들어진 화려한 탑으로 사면에 8층 계단을 가설한 4각 기단 위에 세워진 3층탑이다.

탑의 높이는 10.4m이며 국보 제20호로 지정돼 있다.

다보탑의 1층은 사각형,2층은 8각형이며 3층은 둥근 연꽃 모양으로 돼 있다.

이는 융통성이 없는 사람들이 도를 닦아 부처님의 세계에 도달하는 과정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보탑은 화려하기 때문에 주목받기도 하지만 탑에 깃든 놀라운 축조기술도 그에 못지않게 관심을 끌고 있다.

탑은 접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석재를 조립,정교한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어졌는데 이는 동양에서 유일한 것이다.

1920년에 실시된 실측 결과에 따르면 탑의 설계는 정확한 기하학적인 비례,즉 8대 4대 2대 1의 등비급수 비율로 세밀하게 구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보 제21호로 지정돼 있는 석가탑은 높이가 8.2m로 일명 ''무영탑''이라고도 불린다.

이 탑에는 탑을 만들었다는 석공 아사달과 아사녀의 슬픈 사랑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석가탑의 본래 이름은 석가여래 상주 설법탑(釋迦如來 常主 說法塔)이다.

석가여래께서 이 탑 속에 계시면서 영원히 설법하는 탑이라는 뜻이다.

석가탑은 소박한 듯 보이지만 다보탑 못지 않게 화려하고 장엄하다.

석가탑이 보여주는 완벽한 균형미는 치밀한 계산으로 만든 상승감과 안정감에서 비롯된다.

이 탑은 튼튼한 2중의 기단 위에 탑신부의 몸돌,지붕돌이 단순한 모양으로 크기가 줄어들면서 차곡차곡 쌓아져 3층으로 솟아 오른다.

특히 층마다 올라가면서 크기와 무게를 줄임으로써 안정감을 주는데 1층 몸돌과 2,3층 몸돌 높이의 비율이 4대 2대 2다.

이는 사람의 눈 높이에서 보는 착시를 감안,상승감을 느끼도록 아래쪽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을 고려한 신라인의 과학적 지혜로 평가되고 있다.

흙을 주무르듯 돌을 잘 구슬리고 다듬어낸 것이 다보탑의 솜씨라면 석가탑은 커다란 통 돌의 크기를 줄이면서 깔끔하게 상승하는 느낌을 만들어낸 것이 특징이다.

다보탑과 석가탑은 불교의 이상향을 건축으로 나타내며 축성에 있어 기하학적 비례를 이용,아름다움을 형상화한 신라 과학기술의 걸작품이다.

염영일 포항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