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는 22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어 약사법 개정안을 의결할 예정이었으나,핵심사안인 "주사제의 의약분업 제외" 여부를 놓고 의원들간 입장이 팽팽히 맞서 밤 늦도록 개회조차 못하는 진통을 겪었다.

민주당 김성순 김명섭 김태홍,한나라당 김홍신 의원 등은 주사제를 의약분업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 고진부,한나라당 윤여준 박시균 이원형 김찬우 의원 등은 지난달 11일 확정된 소위안대로 주사제를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주사제 포함을 고수한 의원들은 "처방과 조제를 분리한다는 의약분업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선 주사제를 약국에서 판매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약품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고 리베이트 관행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병원처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주사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주사제 제외를 주장한 의원들은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서 주사제를 구입한 뒤 다시 병원에 가야 하는 것은 환자들에 엄청난 불편을 준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또 "주사제를 병원에서 취급할 경우 주사제 처치과정을 줄여 연간 5천억원 정도의 의보재정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변했다.

한편 이날 약사법 개정 논의와 관련,시민단체와 약계는 "주사제를 제외하면 의약분업이 사실상 무의미해진다"며 주사제의 의약분업 포함을 강력히 요구했다.

특히 약사회는 지난 19일 회원들을 대상으로 찬반투표를 실시,주사제 제외가 확정될 경우 임의조제와 일반 의약품의 낱알 판매 등을 통해 의약분업 자체를 거부한다는 방침을 정한 상태여서 논란이 예상된다.

김미리 기자 mi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