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새벽(이하 한국시간) 김대중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그동안 이견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진 대북 문제와 경제 통상현안 등에 대해 ''적극 공조 또는 협력''한다는 큰 틀을 짰다는데 의미가 있다.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 가진 정상회담에서 두 사람은 ''전통적인 동맹관계''를 바탕으로 이같은 ''대원칙''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우리측이 얻은 가장 큰 성과는 한.미간 동맹관계를 상호 재확인하고 이를 확고히 하는 방안을 강구한다는데 합의한 점이다.

김하중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양국 정상은 정상회담을 통해 신뢰관계를 확립하고, 대북정책 공조를 비롯한 제반 문제에 대해 함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면서 "그동안 한.미간 대북 공조 여부에 일부 의구심이 있었던 것을 완전히 불식시키는 기회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김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국정부의 대북화해 정책 목표와 추진방향에 대해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부시 대통령도 이런 김 대통령의 설명에 "한반도 문제에 관한 한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한국의 대북정책을)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 이번 정상회담이 부시행정부 출범 이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 가진 회담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이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안보협력국''이란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은 경제사안 및 국가미사일방어(NMD) 체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해 내지 못한 문제점도 드러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호혜 원칙하에서 경제 통상관계를 발전시킨다"는 원칙만을 합의하는데 그쳤다.

NMD의 경우도 우리측의 여러 가지 복잡한 사정이 감안돼 "한국측이 미국의 NMD 추진의도를 이해하고, 미국측도 한국의 이런 입장을 십분 이해한다"는 선에서 회담을 끝냈다.

한국이 NMD 문제에 대해 지지 또는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경우 곧바로 관련 국가로부터 반발을 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번 회담에서 양국간 현안에 대한 확고한 공조의 기본 틀이 마련됐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이후 한.미.일 3국 정책협의회와 차관보급 회의를 통해 후속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