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샷을 어디로 해야 하나?"

"어디긴 어디야,페어웨이 복판이지"

라운드중인 골퍼들한테 가끔 들을수 있는 대화내용이다.

얼핏 맞는 말이다.

그런데 "한 복판"을 겨냥한다는 것은 말은 쉽지만 실제 결과는 그렇지 않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볼을 원하는 지점이나 적어도 그 근처에 떨어뜨리려면 골퍼들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야 한다.

□드라이버샷·쇼트퍼팅=드라이버샷을 할 때와 1m 안팎의 쇼트퍼팅을 할 때에는 ''한 점''을 집중적으로 겨냥해야 한다.

먼저 드라이버샷.

잭 니클로스는 "머리 속에서 조준이 구체적으로 이뤄질수록 어드레스 때 클럽페이스 방향과 목표에 대한 정렬이 정확해진다"며 "그 두 가지가 정확해지면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볼을 보낼 확률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인 목표가 있어서 집중이 더 되고 그것은 볼을 그곳으로 보내고야말겠다는 긍정적 사고로 이어진다는 뜻.

2백m 앞의 한 지점을 겨냥하는 데 무리가 있다면 볼과 그 지점을 잇는 직선상에 임의의 중간목표를 잡고 그곳을 겨냥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중간목표는 볼 쪽에 가까워야 한다.

다음은 쇼트퍼팅.

웬만한 브레이크는 무시하고 홀 중앙을 향해 쳐야 홀인확률이 높다.

짧은 거리에서 이것 저것 다 감안하다 보면 오히려 볼이 빗나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프로치샷·롱퍼팅=어프로치샷과 7m 이상의 롱퍼팅을 할 때에는 ''일정 존(zone)''을 겨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버샷은 한 지점이라고 하더니 어프로치샷은 왜 구역을 겨냥하라고 하는가.

그린 주변에는 벙커·러프 등 트러블이 많다.

깃대를 조금만 빗나가도 스코어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는 것이다.

깃대 바로 앞에 벙커가 도사리고 있는데도 깃대를 겨냥할 경우 샷이 조금이라도 짧으면 벙커행이다.

아마추어들에게 벙커는 ''1타 이상의 손실''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대부분 어프로치샷은 그린 중앙을 겨냥하라''는 말이 무난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롱퍼팅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10m 거리에서 원퍼팅으로 볼을 홀에 집어넣을 확률은 1%나 될까?

그 반면 반경 60㎝의 원 안에 볼을 멈추게 할 확률은 적어도 10%는 될 것이다.

골프는 확률게임이다.

□집중 또 집중=한 지점이든,일정 구역이든 샷을 할 때에는 그 샷 하나에만 온 신경을 모아야 한다.

어드레스를 포함해 약 5초 정도만 집중하면 되는 것이므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90타 정도의 실력이라면 한 라운드에 7∼8분만 집중하면 된다는 얘기다.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