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공사, 제일은행 임원들에 부여한 스톡옵션 전면 무효화시키기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일은행의 2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이 은행이 임원들에게 부여한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을 전면 무효화시키기로 했다.
15일 박승희 예금보험공사 이사는 "제일은행 주총에서 60만3천6백65주의 스톡옵션 부여 안건에 대해 반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이사는 "지난해 부여됐던 5백27만3천2백17주의 스톡옵션도 적법하지 않다고 판단해 무효화할 것을 제일은행에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톡옵션은 발행주식의 3분의 2 이상 참석에 참석주주 3분의 2이상 찬성이 필요한 특별결의 사항이다.
따라서 제일은행의 지분 45%를 보유한 예보가 반대하면 스톡옵션부여 안건은 자동 부결된다.
제일은행은 예보의 이같은 방침과 관련,16일 예정된 주총을 돌연 연기했다.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스톡옵션 행사가격등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벌기로 업계는 보고 있다.
거래정지 중인 상장사의 스톡옵션 행사가격은 자산.수익가치를 고려해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하도록 돼 있으나 제일은행은 임의로 행사가격(6천3백43원)을 정했으며 예보는 이를 위법이라고 지적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15일 박승희 예금보험공사 이사는 "제일은행 주총에서 60만3천6백65주의 스톡옵션 부여 안건에 대해 반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이사는 "지난해 부여됐던 5백27만3천2백17주의 스톡옵션도 적법하지 않다고 판단해 무효화할 것을 제일은행에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톡옵션은 발행주식의 3분의 2 이상 참석에 참석주주 3분의 2이상 찬성이 필요한 특별결의 사항이다.
따라서 제일은행의 지분 45%를 보유한 예보가 반대하면 스톡옵션부여 안건은 자동 부결된다.
제일은행은 예보의 이같은 방침과 관련,16일 예정된 주총을 돌연 연기했다.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스톡옵션 행사가격등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벌기로 업계는 보고 있다.
거래정지 중인 상장사의 스톡옵션 행사가격은 자산.수익가치를 고려해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하도록 돼 있으나 제일은행은 임의로 행사가격(6천3백43원)을 정했으며 예보는 이를 위법이라고 지적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