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학자 유홍준 교수(영남대)에겐 그 흔한 휴대전화가 없다.

인터뷰나 원고청탁,강연요청 등의 전화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걸려오는 탓에 아예 휴대전화를 마련하지 않았다.

"사실 1993년 5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1권)"가 나온 이후 근 8년이 지났으니 좀 지친다는 게 솔직한 심정입니다. 하지만 문화유산의 전도사를 자임하고 나선 만큼 가던 길을 계속 가야죠"

그는 우리 사회에서 지식인이 대중속에 뛰어든 선구적 경우다.

학자나 동호인들의 전유물인 줄로만 알았던 문화유산을 처음으로 대중들에게 돌려준 것이다.

그 결과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1권은 무려 1백20만권이나 팔리면서 문화계를 강타했고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유행어가 됐다.

''나의∼답사기''는 2권,3권도 각각 60만부와 40만부가 팔렸고 지난해초 나온 ''북한문화유산 답사기''의 판매부수도 15만부를 넘어섰다.

그는 "고정독자가 3만명은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지금까지 나온 책 중 제일 적게 팔린 ''다시 전통과 현실의 지평에서''(창작과 비평)가 3만부 가량 나갔다는 얘기다.

하긴 박사학위 논문을 다듬어 내놓은 ''조선시대 화론 연구''도 1만권이나 팔렸으니….

그가 가는 곳엔 사람이 몰렸고 미술 전시회도 그의 강연을 곁들이면 ''대박''을 터뜨렸다.

"지식인은 자기가 공부한 것을 대중들에게 어떻게 돌려줄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학문연구가 동시대인의 삶과 분리돼선 안된다고 생각해요"

그는 끊임없이 대중에 다가서려고 노력한다.

옆사람에게 이야기하듯 굽이치는 그의 글은 ''수다체''로 불릴 만큼 편하다.

그는 또한 자료검색은 컴퓨터로 해도 원고는 만년필로 쓴다.

컴퓨터로 쓰면 말이 길어져 독자와 친해지기 어렵다고 생각해서다.

강의나 강연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는 비디오 대신 슬라이드 사용을 고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학생이나 청중들의 집중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학자로서 본연의 자세를 흐트리지 않는 일이다.

그는 "대중과 친한 지식인은 단명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미술사학계에서 인정해줄 때 대중들도 나를 계속 좋아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원래 갖고 있는 지식만 쏟아낼 게 아니라 늘 새로운 것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애초 미술전문지 기자로,미술평론가로 활동하던 그가 문화유산 전문가가 된 것은 한국미술의 우수성에 대한 확신 때문이다.

그는 우리 문화가 중국이라는 거대한 문화권에서 볼 땐 주변문화에 속하지만 중국과는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왔다고 믿는다.

때문에 우리 문화의 고유성과 관련해 열등감을 갖는 데 대해 그는 단호히 반박한다.

"문화의 고유성과 정체성은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는 나름의 역사와 자연에 바탕한 분명한 특수성이 있거든요"

그는 또 "전통은 억지로 살리는 게 아니라 좋아서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냥 전승만 하는 것보다 새롭게 개선하면서 이어가야 한다는 얘기다.

지난 1년간의 안식년을 마치고 이번 학기부터 학교에 돌아온 그는 "올해엔 결실이 많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최근 ''북한문화유산 답사기'' 하권을 출간한 데 이어 우리나라 화가 8명의 일대기를 정리한 ''화인열전'' 상·하권을 곧 내놓는다.

추사 김정희의 삶을 다룬 평전 2권도 올 여름 선보일 예정이다.

앞으로 계획을 묻자 하고 싶은 일들이 꼬리를 문다.

온 국민의 교양교과서가 될 만한 한국문화사와 미술사를 쓰는 일,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유산 답사기 집필,일본·만주의 우리 문화유산 답사와 외국박물관이 소장한 우리 문화재 정리 등….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제4권도 구상 중이다.

그동안 선거 때마다 정치권에서 그를 후보로 거론해온 얘기를 꺼내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1회용 반창고나 되려고요? 내가 갈 곳은 학계와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문화유산현장 뿐입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

[ 유홍준 누구인가 ]

유홍준(52) 교수는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 미학과를 나와 홍익대 대학원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한 뒤 1997년 성균관대에서 ''조선후기 화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3학년 때 3선개헌에 반대하다 무기정학과 강제징집을 당했고 복학한 뒤에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됐다.

미술전문지인 ''계간미술'' 기자로 일하던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분에 당선된 데 이어 83년 모대학 전임강사로 발령받았으나 전력이 문제가 돼 취소당했다.

이후 미술평론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그는 85년 신촌 ''우리마당''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여는 등 문화유산 ''전도사업''을 벌였다.

문화유산 답사붐을 일으킨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이를 토대로 쓴 책이다.

이후에도 그는 10여권의 책을 꾸준히 써내며 국토와 문화유산 사랑을 실천해오고 있다.